2010년 44.1%→2015년엔 46.8%
한은 발표… 동남권 비중은 크게 줄어
서울과 인천, 경기를 포함한 수도권이 국내 산업 산출액의 절반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2일 한국은행 ‘지역산업연관표’에 따르면 수도권이 2020년 국내 전체 산업 산출액의 절반에 가까운 49.9%를 차지했다. 이 중 경기가 25.8%, 서울이 19.3%였다. 수도권 비중은 2010년 44.1%, 2015년 46.8%에 이어 계속 확대되고 있다. 수도권과 함께 충청권(12.9→13.7%)의 비중이 확대됐으나 동남권(18.0→15.4%)과 대경권(9.8→8.7%), 호남권(9.8→9.4%) 등의 비중은 5년 전보다 축소됐다.
전체 부가가치에서 수도권이 차지하는 비중도 2015년 50.7%에서 2020년 54.0%로 늘어났다. 이는 동남권(13.4%), 대경권(8.2%), 호남권(8.6%), 충청권(12.5%) 등 다른 지역보다 압도적인 수치다. 지역별 재화와 서비스 공급 구성에서도 수도권의 지역 내 생산(68.4%)과 경제권 내 이입(11.4%)이 가장 높은 것으로 집계됐다. 지역 내 수요 비중은 강원(75.9%)이, 수출 비중은 울산(21.6%)이 가장 높았다.
국내 지역 간 교역 규모는 2020년 1719조8000억 원으로 2015년(1359조1000억 원)보다 26.5% 증가했다. 전체 지역 간 교역액 중 수도권으로 들어오는 비중이 43.8%, 수도권에서 다른 지역으로 나가는 비중이 48.0%로 각각 가장 컸다.지역산업연관표는 전국을 지역 경제 단위로 나눠 작성한 투입 산출표다. 지역 간 상호 의존 관계를 분석하는 데 사용된다. 2003년부터 작성돼 5년마다 개편하는 기준년 산업연관표에 맞춰 새로 작성·공표해 왔다.
이호 기자 number2@donga.com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개
- 슬퍼요 0개
- 화나요 0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