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후보 동문·공약 관련 테마주 요동…10배 뛴 종목도

4 hours ago 2

금융감독원

금융감독원
조기 대선을 앞두고 정치 테마주들의 주가 변동성이 확대되고 있는 가운데 최근 5개월간 정치테마주의 일별 주가 등락률이 시장 평균의 3배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선 유력 후보와 지연이 부각되는 등 투자열기가 과열되며 일부 종목은 주가가 10배 수준으로 뛴 것으로 조사됐다.

1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 5개월(2024년 12월 3일~2025년 4월 22일)간 정치테마주 60개 종목의 일별 주가등락률은 최저 ㅡ6.5%에서 최고 18.1%에 달했다. 일간 변동성(표준편차) 3.3% 수준으로 시장 평균의 3배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금감원은 2024년 12월 이후 시장경보 종목 중 투자경고 이상으로 지정되고 정치인 및 정책과 관련된 60개 회사를 분석했다. 이들 기업은 특정 정치인과 실제 연관성이 없더라도 학교 동문, 동향, 종친 등 단순한 사유 또는 확인되지 않은 풍문 등의 사유로 정치 테마주로 분류되고 있다. 대선 후보자의 공약과 직접적으로 관련 없는 종목도 정책 관련주로 꼽히고 있다.

예를 들어 A사는 옛 사외이사가 특정 대선 후보의 선거 캠프에 합류했다는 이력만으로 주가가 12월 3일 대비 10배 수준으로 뛰기도 했다. B사는 본사 소재지가 특정 정치인의 공약 수혜지로 주목받아 주가가 3배가 됐다.

하지만 정치테마주 평균 자산총액은 코스피·코스닥 시장 평균의 12.8%, 49.7% 수준으로 대부분 자산 규모가 영세한 중·소형주다. 평균 영업이익률은 1% 수준으로 시장 평균의 5분의 1에도 못 미치는 상황이다.

금감원은 탄핵 이후 실시된 지난 19대 대선 때도 정치 테마주들이 주가 급등락을 반복하다 선거일 전후 주가가 원래 수준으로 회귀했다며 변동성 탓에 투자 위험성이 매우 높은 상황이라고 평가했다.

금감원은 정치 테마주 관련 불공정 거래 대응을 위해 지난해 12월 3일 비상계엄 이후 가동 중인 특별단속반을 확대하고 집중 제보 기간(2025년 5월 1일~7월 31일)을 운영하기로 했다. 제보자를 대상으로 한 포상금도 최대 30억 원까지 검토한다.

신무경 기자 yes@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지금 뜨는 뉴스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