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이데일리 권효중 기자] 11년 만에 열린 제5차 아시아·태평양 경제협의체(APEC) 해양장관회의에서 한국이 제안한 ‘해양 회복력 증진’을 위한 로드맵을 추진하기로 한 내용을 담은 의장국 선언이 발표됐다.
![]() |
강도형 해양수산부 장관이 1일 APEC 해양관계장관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해양수산부) |
강도형 해양수산부 장관은 1일 부산 웨스틴조선에서 열린 APEC 해양관계장관회의 결과 브리핑에서 “기후변화 대응, 해양 쓰레기 관리와 IUU(불법·비보고·비규제) 어업 근절 등 다양한 해양 협력 의제에 대해 합의를 이뤘다”며 이같이 밝혔다.
다만 이같은 합의 내용은 21개 APEC 회원국 ‘만장일치’가 필요한 공동성명이 아닌, 의장국인 한국에서 내는 ‘의장성명’으로 발표됐다. 강 장관은 “회의에서 제시된 30개 의제에 대해선 모두 합의가 이뤄졌지만, 일부 국제 정치와 관련된 사안에서 이견이 있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APEC 해양관계장관회의는 올해 한국의 APEC 정상회의 의장 국가 수임을 계기로 개초된 분야별 장관회의 중 첫 번째로 개최됐다. 이번 회의의 주제는 ‘우리의 푸른 미래로 항해하다-연결, 혁신, 그리고 번영’으로, 해양환경 보존과 지속 가능한 어업 등이 중점적으로 논의됐다. 회의에는 21개 회원국의 해양수산 고위급 인사 150여명이 참석했다.
이번 회의에서 회원국들은 한국이 제안한 ‘APEC 해양 회복력 로드맵’ 수립을 위한 논의 시작에 합의했다. 또 해양 생물 다양성 보전을 위한 BBNJ 협약, 세계무역기구(WTO) 수산보조금 협정의 중요성에 공감하며, 해양 플라스틱 등 해양 쓰레기 문제에 공동 대응하기 위한 협력 강화에 나서기로 했다.
강 장관은 “회원국 모두는 해양과 연안 지역 사회의 회복력을 높여야 한다는 필요성에 전적으로 공감했고, 이러한 공동 인식 하에 ‘APEC 해양 해복력 강화 로드맵’을 수립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이어 “한국은 이를 제안한 국가로서 혁신 기술을 활용한 효과적인 이행 방안이 도출될 수 있도록 수립 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겠다”고 덧붙였다.
또한 2002년 첫 해양장관회의를 계기로 설립된 해양환경교육훈련센터(AMETEC)는 아태 지역 ‘해양 교육의 허브’로 적극 활용될 전망이다. 강 장관은 “센터 내 다양한 교육을 통해 해양전문가들과 실무자의 역량을 지속적으로 강화해나갈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아직 다음 해양관계장관회의 개최지는 결정되지 않았지만, 우리 정부는 11년 만에 열린 회의를 주재했던 만큼 앞으로의 지속적인 논의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특히 오는 10월 경주에서 열리는 APEC 정상회담에서도 해양 관련 논의 사항이 포함될 수 있다.
강 장관은 “APEC 회원국들 모두의 ‘지속 가능한 해양 경제 실현’에 대한 강력한 의지를 재확인했고, 한국이 처음으로 제안한 회의를 다시 재개하고, 이번에 30개 의제들을 합의했다는 점은 큰 외교적 실익을 얻은 것”이라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실무그룹 논의를 통해 빠르면 내년, 조금 늦어도 내년 말까지는 로드맵의 초안을 구체화하고, 실행 계획까지 나아가고자 한다”고 부연했다.
이날 함께 브리핑에 참석한 에두아르도 페드로사 APEC 사무국장은 “이번 회의를 통해 한국은 해양과 어업의 중요성을 다시금 상기시켰고, APEC 해양수산실무그룹(OFWG)에서 구체적 논의가 이뤄질 것”이라고 평가했다. 페드로사 사무국장은 “APEC은 모든 회원국들의 협력을 위한 플랫폼”이라며 “실천을 위한 방향은 다를 수 있지만, 협력을 위해 회원국들은 한마음으로 임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한편 한국은 2002년 해양 분야 APEC 장관회의를 처음 제안하고, 첫 개최국을 맡은 국가다. APEC 해양관계장관회의는 2014년 제4차 회의 이후 개최되지 않았다가 11년 만에 한국에서 다시 열리게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