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법 전원합의체, 이재명 사건 두 번째 심리
대법원 전원합의체는 오늘 24일 두 번째 기일을 열고 이재명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 사건을 심리하고 쟁점을 검토합니다. 전원 합의는 한 달에 한 번 매월 세 번째 목요일에 열리나 기일은 언제든 추가할 수 있습니다. 대법원이 이례적으로 속도를 내면서 신속히 첫 기일과 속행 기일을 잡은 것은 사건을 그만큼 중요하게 인식한다는 의미입니다. 법조계 일각에서는 취임 이후 '재판 지연' 해소를 강조한 조희대 대법원장의 의지가 반영된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장관, 관세 협상을 위해 방미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현지시간 23일 미국과의 관세 협상을 위해 미국을 방문했습니다. 이날 워싱턴DC 인근 덜레스 공항에서 안 장관은 관세 협상 목표를 묻는 말에 "기본적으로 지금 상호 관세 부과가 된 것을 철폐하는 것이 목적"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25% 품목 관세가 부과된 자동차의 경우에는 대미 교역에 큰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라며 "될 수 있는 대로 신속하게 이 문제는 저희가 풀 수 있도록 협의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습니다.
◆"트럼프, 자동차업체들을 위해 부품 관세 일부 면제 계획"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자국 자동차 업체들을 위해 자동차 부품과 관련한 일부 관세를 면제할 계획이라고 로이터통신이 파이낸셜타임스를 인용해 현지시간 23일 보도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검토 중인 방안의 핵심은 전 세계를 대상으로 하는 철강·알루미늄 관세 25% 부과 대상에서 자동차 부품은 제외하는 것입니다. 또 합성마약 펜타닐 원료의 대미 유입 근절에 충분히 협조하지 않는다는 이유로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에 부과해온 관세(20%)에서도 자동차 부품은 면제하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고 파이낸셜타임스는 전했습니다.
◆트럼프 "2∼3주 안에 중국 관세율 정할 것"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현지시간 23일 미국과 중국이 상대방에 초고율 관세를 부과한 것에 대해 "중국과 '공정한' 합의를 만들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도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폭스뉴스와의 인터뷰에서 "중국에 대한 일방적 관세 인하는 없다"고 말했습니다.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후 미국은 중국에 145%, 중국은 미국에 125%의 관세를 각각 부과했습니다.
◆트럼프 '시장 달래기'…뉴욕증시 상승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이 관세정책과 중앙은행에 대한 금리 인하 요구에 유화적인 제스처를 취하면서 현지시간 23일 뉴욕증시가 상승했습니다. 이날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1.07%,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지수는 전장보다 1.67%,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종합지수는 전장보다 2.50% 오르며 마감했습니다. 특히 테슬라는 일론 머스크 최고경영자(CEO)가 내달부터 정부 업무를 줄이고 테슬라 경영에 집중하겠다고 밝히면서 주가가 5.4% 상승했습니다.
◆中 직구 어린이 완구서 사용금지 '가습기 살균제' 성분 나와
중국 온라인 플랫폼에서 파는 어린이용 완구에서 국내 사용이 금지된 가습기 살균제 성분의 유해 물질이 나와 판매 중단 조치가 이뤄집니다. 서울시는 어린이날을 맞아 테무, 쉬인, 알리익스프레스에서 판매 중인 완구 25종에 대해 안전성 검사를 한 결과 4개 제품이 부적합 판정을 받았다고 24일 밝혔습니다. 키링 인형 1종에서 국내 기준치의 278.6배인 국제암연구소가 지정한 인체발암 가능 물질인 프랄레이트계 가소제가 검출됐습니다. 어린이 점토 1종에서는 국내 사용이 금지된 클로로메틸아이소티아졸리논(CMIT)과 메틸아이소티아졸리논(MIT)이 나왔습니다. 가습기 살균제 원료로 사용돼 유해성 논란이 있었던 성분입니다. 서울시는 해외직구 어린이 제품 구매 시 각별히 주의해달라고 당부했습니다.
최수진 한경닷컴 기자 naiv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