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들어 부도 위기에 내몰린 기업이 작년보다 세 배 이상 늘었다. 경기 침체와 고금리 기조 장기화의 영향으로 경영난에 휩싸인 기업이 급증했다는 분석이다.
금융감독원은 채권은행의 올해 정기 신용위험평가 결과 230개사를 부실징후기업(C·D등급)으로 지정했다고 23일 발표했다. 전체 부실 징후 기업은 작년보다 1곳 줄었다. 하지만 경영 정상화 가능성이 작은 D등급은 17곳 늘어 130곳에 달했다. C등급 기업이 대부분 상황이 나빠져 D등급으로 이동한 탓에 C등급은 작년보다 18곳 줄어든 100곳으로 집계됐다.
금감원 관계자는 “경기 회복 지연에 따른 업황 부진, 원가 상승, 고금리 장기화 등에 따라 일부 한계기업의 경영 악화가 심화한 점이 원인”이라고 말했다.
1년에 한 번 하는 정기 신용위험평가 결과는 A~D 네 등급으로 나뉜다. A는 정상, B는 부실 징후 가능성을 보이는 기업이다. 부실 징후 기업인 C와 D는 다시 경영 정상화 가능성이 높은 기업(C)과 낮은 기업(D)으로 구분된다. 통상 C등급은 채권단 중심의 워크아웃(기업구조개선작업), D등급은 법원의 기업 회생 절차(법정관리)를 밟는다.
올해는 부실 징후 기업 가운데 금융권 신용공여 500억원 이상인 대기업이 2곳 늘어난 11곳으로 조사됐다. 그중 D등급이 작년 2곳에서 올해 7곳으로 증가했다. D등급 대기업은 2021년과 2022년에는 한 곳도 없었다. C등급 대기업은 작년 7곳에서 올해 4곳으로 줄었다.
전체 부실 징후 기업(C·D 합산 230곳)을 업종별로 보면 부동산 관련 기업이 30곳으로 가장 많았다. 2021년 3곳에서 2022년 15곳, 작년 22곳 등 최근 빠르게 늘어나는 추세다. 자동차 업종 관련 기업은 4곳 증가한 21곳으로 2위였다. 건설업 중 종합건설회사를 제외한 ‘전문직별 공사업’이 4곳 늘어난 8곳으로 집계됐다.
부실 징후 기업에 대한 은행권의 신용공여 규모는 총 1조9000억원으로 전체 신용공여의 0.07% 수준이었다. 새로 부실 징후 기업이 지정됨에 따라 은행권이 추가로 쌓아야 하는 충당금은 2069억원으로, 이에 따른 국제결제은행(BIS) 자본 비율 하락은 0.02%포인트로 추산됐다.
강현우 기자 hk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