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장 집값 주춤하겠지만…시장선 이미 '해제땐 반등' 전망"

2 weeks ago 3

전문가들은 토지거래허가구역 확대 지정으로 단기적으로 서울 아파트 거래량과 가격이 조정될 수 있지만 중장기적으로는 다시 반등할 가능성이 크다고 봤다. 지정 기간이 한시적인 데다 공급 부족,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 등 부동산 시장을 자극할 요소가 줄줄이 대기하고 있어서다.

부동산 전문가들은 19일 토지거래허가구역 재지정에 따른 시장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라고 입을 모았다. 박원갑 KB국민은행 부동산수석전문위원은 “집값이 급등하면 정부가 언제든 규제 카드를 꺼낼 수 있다는 메시지가 시장에 전달될 것”이라면서도 “지난달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만 집값 상승 주범으로 보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함영진 우리은행 부동산리서치랩장도 “서울에서 공급 감소와 봄 이사철 임대차 가격 상승 등의 변수가 남아 있어 강남권 매매가를 끌어내리기에는 한계가 있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전세를 끼고 주택을 구입하는 갭투자 수요와 매매는 다소 주춤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함 랩장은 “토지거래허가구역 재지정 구역에서는 오는 23일까지 계약을 마쳐야 규제를 피할 수 있어 거래를 취소하거나 시점을 앞당기는 등 시장 혼선이 있을 수 있다”고 말했다.

주택 수요가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되지 않은 지역으로 이동할 가능성이 높다는 의견도 있다. 영등포구, 마포구, 강동구, 성동구, 광진구 등이 부각되는 ‘풍선효과’가 유발될 수 있다는 의미다. 양지영 신한투자증권 자산관리컨설팅부 수석은 “강동·마포·성동 등 인근 지역의 가격 상승이 예상된다”며 “결과적으로 실수요자의 서울 내 집 마련을 더 어렵게 하는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다”고 진단했다.

정부가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후 한 달 만에 확대 재지정해 정책을 단기간에 번복한 점에도 비판이 제기됐다. 이은형 대한건설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은 “당장 거래를 억제하더라도 기간이 한시적인 데다 시장에서는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이후 가격이 상승하는 것을 봤다”며 “다음 지정 해제 이후에도 비슷하게 움직일 것이라고 예상하는 게 소비자 심리”라고 말했다.

김효선 농협은행 부동산수석위원은 “6개월 후 재지정 여부를 결정할 때는 서울시 공급 진행 상황을 면밀히 고려해 신중하게 결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명현 기자 wise@hankyung.com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