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경북 11%·부산 10%…수협 연체율 '빨간불'

6 days ago 2

어촌 살림을 돕는 수산업협동조합(수협)의 일부 지역 연체율이 두 자릿수를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 침체로 어민의 상환 능력이 약화하면서다. 수협중앙회 차원에서 부실채권 매각처 다변화 등 자산 건전성 제고에 고삐를 쥐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단독] 경북 11%·부산 10%…수협 연체율 '빨간불'

13일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송옥주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수협중앙회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8월 기준 전국 10대 권역별 수협 가운데 평균 연체율이 가장 높은 곳은 경북으로 11.45%에 달했다. 연체율은 금융회사의 건전성을 나타내는 대표적 지표로 1개월 이상 연체된 채권을 전체 채권으로 나눠 구한다.

부산(10.33%), 전북(9.99%), 제주(9.16%), 경인(8.27%) 등이 전국 평균(8.11%)을 웃돌았다. 이는 지역 금융권에선 위험 신호로 해석할 수 있는 수치다. 수협의 전체 연체율도 2020년 말 2.44%에서 5년여 동안 세 배 넘게 뛰었다.

일부 조합의 부실이 전이돼 비율이 뛰었다는 분석이 나온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각 권역의 89개 지역 조합 중 고정이하여신(부실채권) 비율이 권고치인 3%를 넘은 곳은 57개(64%)에 달했다. 대출금 회수 가능성이 낮은 부실 여신이 그만큼 많다는 뜻이다. 전북 군산시수협 등 일부는 20%를 넘겼다.

부실 자산은 가파르게 늘어나는데 채권 매각은 부진했다. 지역 수협의 부실채권 매각 금액은 2020년 655억원에서 올해 9월 3817억원으로 늘었다. 하지만 같은 기간 고정이하여신 총계는 7357억원에서 2조8836억원으로 증가했다. 수협 측은 “수온 상승에 따른 어획량 감소, 경기 침체로 인한 어민 수익성 악화 등이 자산 건전성 전반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설명했다. 대부분 단기적으로 해결이 어려운 요소인 만큼 지역 조합의 재정 여건은 계속 나빠질 가능성이 크다는 관측이 많다.

송 의원은 “중앙회 차원에서 지역 조합의 여신심사와 관리 역량을 강화할 특단의 조치가 필요하다”며 “부실채권 매각처를 다변화하고 선제적으로 대손충당금을 적립하는 등의 방안도 강구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시은 기자 see@hankyung.com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