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EAN 정상회의서 외교 무대 첫 데뷔
미일 정상회담서는 조선·희퇴류 의제로
다카이치 사나에 일본 총리가 외교 무대에 공식 등장했다.
26일 말레이시아에서 열린 동남아시아국가연합(ASEAN) 정상회의에 참석한 가운데, 이에 앞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는 25일 취임 후 첫 전화 통화를 했다.
26일 NHK와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 등은 다카이치 총리가 트럼프 대통령과의 통화에서 “일본은 미국의 중국과 인도·태평양 지역 전략에 있어 매우 중요한 국가”라며 “미일 동맹을 새로운 차원으로 끌어올리기 위해 노력하기로 논의했다”고 보도했다.
다카이치 총리는 또 트럼프 대통령에게 북한의 일본인 납치 문제 해결과 자유롭고 개방된 인태 지역 실현에 대한 협조를 요청했다고 덧붙였다.
그는 트럼프 대통령에 대해 “매우 활기차고 유쾌한 사람”이라고 평가했으며 엑스(X·옛 트위터)에 올린 글에서는 “좋고 솔직한 대화를 나눴다”고 적었다.
다카이치 총리는 첫 외교무대가 된 ASEAN 정상회의에서 “자유롭고 열린 인도 태평양의 추진을 향한 협력”을 호소하며 “인공지능(AI)과 같은 첨단 기술 협력과 공급망 강화 등 ASEAN과 폭넓은 분야에서 제휴하겠다”고 밝혔다. 이는 ASEAN 지역에 세력을 강화하고 있는 중국을 염두에 둔 조치로 풀이된다.
다카이치 총리는 오는 28일에는 일본에서 트럼프 대통령과 첫 미일 정상회담에 나선다. 요미우리신문은 양국이 조선 분야 실무 그룹을 만들어 미국에 대한 투자 촉진과 기술 혁신 등 협력을 강화하는 내용이 담긴 각서를 회담 때 체결하는 방향으로 조율중이라고 보도했다.
각서 초안에는 “강력하고 혁신적인 조선산업이 양국의 경제안보, 경쟁력에 중요하다”고 명기돼있다. 양국은 선박 설계나 부품 공통화, 인재 육성 강화 등도 검토할 계획이다.
조선업은 미일 관세협상에서 일본의 5500억달러(약 80조원) 대미 투자 분야에 포함되어 있다. 투자 대상의 일부는 희토류가 될 전망이다.
닛케이는 희토류 등 중요 광물의 공급력 강화를 위한 협력 각서도 맺을 전망이라고 보도했다. 이번 회담에 맞춰 일본의 대미 투자와 관련해 투자처 선정에 관여하는 미국 측 관계자도 일본을 방문할 예정이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이번 방일 기간 북한에 의한 일본인 납치 피해자 가족 면담에는 유보적 입장을 보이고 있다고 지지통신이 복수의 정부 관계자를 인용해 보도했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의 회동 의지를 거듭 밝힌 트럼프 대통령이 북한을 의식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는 관측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집권 1기 시절인 2017년 9월 유엔 연설에서 일본인 납북자 문제를 언급했고, 2017년과 2019년 일본을 방문했을 때 납북자 가족과 면담한 바 있다.




![다카이치 "미일 동맹 새 황금시대 희망…北 비핵화 약속 확인" [종합]](https://img.hankyung.com/photo/202510/ZA.42194643.1.jpg)
![[속보] 다카이치 "트럼프와 회담서 '완전한 북한 비핵화'에 미국 관여 확인"](https://amuse.peoplentools.com/site/assets/img/broken.gif)




![엄지성 이어 조규성·이한범도 포스텍 울렸다! 미트윌란, 노팅엄 원정서 3-2 승리…포스텍의 노팅엄, ‘패패무무패패’ 멸망 [유로파리그]](https://pimg.mk.co.kr/news/cms/202510/03/news-p.v1.20251003.f2964094c0e0447f84af28c5f48d0e9a_R.jpg)






English (U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