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표절’ 김건희 학위 취소 초읽기?…숙명여대 학칙 변경 추진

5 hours ago 1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숙명여대는 김건희 여사의 석사 논문이 표절이라고 결론 내렸으나, 현재까지 어떠한 징계도 내리지 않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학교 측은 학칙을 개정하여 부정한 방법으로 받은 학위를 소급 적용할 수 있도록 절차를 진행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김 여사의 석사 학위가 취소되면, 국민대 박사 학위 또한 취소될 가능성이 높은 상황이다.

회원용

핵심 요약쏙은 회원용 콘텐츠입니다.

매일경제 최신 뉴스를 요약해서 빠르게 읽을 수 있습니다.

숙명여대가 부정한 방법으로 학위를 땄을 때 취소하는 학칙을 김건희 여사에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학칙 변경을 시작한 것으로 확인됐다. [사진 = MBC 갈무리]

숙명여대가 부정한 방법으로 학위를 땄을 때 취소하는 학칙을 김건희 여사에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학칙 변경을 시작한 것으로 확인됐다. [사진 = MBC 갈무리]

숙명여대가 3개월 전 김건희 여사 석사 논문이 표절이라고 판단한 이후 어떤 징계도 내리질 않고 있다.

부정한 방법으로 학위를 땄을 때 취소하는 학칙은 있지만, 김 여사가 학위를 해당 학칙 시행 전 받아 적용 여부에 논란이 있었기 때문이다.

이런 가운데 최근 숙명여대가 적용이 가능하게끔 학칙을 바꾸기 시작한 것으로 확인됐다.

14일 SBS에 따르면 김건희 여사는 1999년 숙명여대 교육대학원에서 ‘파울 클레의 회화의 특성에 관한 연구’ 논문으로 석사 학위를 받았다.

이후 논문보다 4년 먼저 나온 시중의 번역서를 절반 가까이 표절했다는 의혹이 일자, 숙명여대 연구윤리진실성위원회는 조사에 착수해 지난 2월 김 여사의 석사 논문이 표절이라고 결론 내렸다.

하지만 해당 논문에 대한 철회 등 관련 징계는 현재까지 이뤄지지 않고 있다.

숙명여대는 부정한 방법으로 학위를 받은 경우 학위를 취소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 학칙 내 시행 시점이 ‘2015년 6월부터’로 돼 있어 김 여사의 1999년 석사 학위 논문에 이를 소급 적용할 수 있는지 논란이 됐다.

그런데 숙명여대 교육대학원위원회가 그제 학위 취소 규정을 소급 적용할 수 있도록 학칙 개정 절차에 착수한 것으로 확인됐다.

학칙 개정안은 오는 25일까지 의견 취합 절차를 진행한 뒤 규정위원회 등의 심의 과정을 거쳐 확정될 예정이다.

김 여사의 석사 학위가 취소되면 국민대 박사 학위도 취소 수순을 밟을 것으로 보인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좋아요 0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