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박지애 기자] 전용면적 59㎡와 84㎡ 사이의 이른바 ‘틈새면적’이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틈새면적은 실용성과 경제성을 동시에 만족시키며 수요자들의 관심을 끌고 있다.
![]() |
풍무역 롯데캐슬 시그니처 투시도(사진=롯데건설) |
8일 부동산 정보업체 부동산인포가 부동산R114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전용 60~69㎡대와 전용 70~83㎡의 틈새면적은 2011년부터 폭발적으로 분양 공급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수요자들의 다양한 니즈를 충족시키기 위한 건설사들의 전략으로 해석된다. 또한 거래량도 꾸준히 늘어나고 있다. 2023년 1만5019건이었던 틈새면적은 2024년에는 1만8199건으로 증가했다. 전체 거래 건수에서 틈새면적이 차지하는 비율도 2020년 11.69%에서 2024년 14.51%로 상승했다.
전용 59㎡와 비교하면 60~69㎡대의 틈새면적은 약간의 면적 증가로 인해 공간 활용도가 높아진다. 특히 방이나 거실의 크기 수납공간 등에서 차이가 나타나며 이는 실거주 만족도를 높이는 요인이다. 반면 전용 70~83㎡는 84㎡와 비교해 면적 차이가 크지 않으면서도 분양가 부담은 상대적으로 적어 경제적이다. 따라서 틈새면적은 실속 있는 공간 활용과 경제성을 동시에 추구하는 수요자들에게 매력적인 선택지로 부상하고 있다.
실례로 새 아파트와 구축 아파트를 비교해 보면 확인해 볼 수 있다. 이번에 분양한 김포 ‘풍무역 롯데캐슬 시그니처’ 전용 65㎡A타입의 경우 현관 신발장이 양 옆으로 각각 설치돼 있고 팬트리와 드레스룸 등 수납공간은 물론 욕실도 2개나 구성돼 있다. 옵션에 따라 다양한 수납공간을 더 늘릴 수도 있다. 또한 이와 별도로 전 세대에 세대창고도 제공된다.
반면 1997년에 입주한 인근 A 아파트의 경우 전용 59㎡는 욕실도 1개이고 수납공간이 없다. 같은 아파트 전용 84㎡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욕실은 2개이지만 수납공간은 별도로 없다
부동산 전문가들은 틈새면적의 인기가 높아지는 이유로 현대적인 설계와 공간 활용의 효율성도 이유로 꼽았다. 과거의 전용 59㎡ 아파트와 최근의 틈새면적 아파트는 설계와 공간 활용에서 큰 차이를 보인다. 최근에는 발코니 확장 알파룸 등 특화 설계를 통해 공간 활용도를 높여 실사용 면적을 극대화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실수요자들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키며 틈새면적의 가치를 더욱 높이고 있다.
롯데건설은 김포에 ‘풍무역 롯데캐슬 시그니처’를 분양 중이다. 단지는 지하 4층부터 지상 28층 9개 동 전용면적 65㎡ 75㎡ 84㎡ 등 선호도 높은 중소형으로 구성돼 있으며 총 720가구 규모로 조성된다. 특히 65㎡의 분양가는 최저 5억3000만원부터 시작해 합리적이다. 청약 당첨자 발표가 8일이며 정당 계약은 오는 21일부터 23일까지 진행된다.
인천 부평구에서는 부평 산곡 재개발로 공급되는 ‘해링턴 스퀘어 산곡역’이 분양 예정이다. 지상 최고 45층 총 2475가구 대단지로 전용면적 39~96㎡ 1248가구가 일반분양 예정이다. 시공은 효성중공업 진흥기업이 맡았다. 수요자들의 선호도 높은 중소형 타입 위주로 구성됐으며 전용 74㎡의 틈새면적도 공급된다.
제일건설㈜은 오는 11일 ‘양주역 제일풍경채 위너스카이’ 견본주택을 열고 분양에 나선다. 틈새 타입인 전용 70㎡를 포함해 84㎡ 101㎡ 등으로 수요자 선택의 폭을 넓혔다. 전용 84㎡ 타입 분양가가 5억 초중반대에 책정돼 합리적인 가격 경쟁력으로 주목받고 있다. 또한 수도권 1호선 양주역과 가까운 초역세권 입지로 40층의 고층 설계를 통해 뛰어난 조망권을 갖춘 것이 특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