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생활에서 플라스틱의 사용·의존도가 높아지는 상황에서 남녀 생식액에서도 미세플라스틱이 침투한 결과를 스페인 연구진이 확인했다고 외신이 보도했다.
최근 일간 엘파이스 보도에 따르면 스페인 무르시아대와 넥스트 퍼틸리티 보조생식 클리닉 연구진은 불임 치료를 받는 남성 22명으로부터 받은 정액과 여성 29명에게서 채취한 난포액을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다. 난포액은 난자를 싸고 있는 유사 알부민 액체로 배란할 때 난자와 함께 난소 밖으로 배출된다.
결과를 보면 난자를 감싸고 있는 난포액 샘플 69%에서 미세플라스틱이 발견됐다. 정자를 운반하는 매개체 역할을 하는 정액의 샘플 55%에서도 미세플라스틱이 나왔다.
무르시아대 분석화학과의 필라르 바냐스 교수 연구팀은 레이저 적외선 현미경을 이용해 난포액과 정액샘플에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폴리스티렌(PS)·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폴리아미드(PA)·폴리우레탄(PU) 등 흔히 사용되는 다양한 미세플라스틱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에서 검출된 미세플라스틱 농도는 매우 낮은 편이었다고 밝혔다. 바냐스 교수는 “그럼에도 한 샘플에서는 PTFE 입자가 최대 38개까지 검출되기도 했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최근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유럽인간생식배아학회(ESHRE) 연례 학술대회에서 이같은 내용을 밝혔다.
연구팀을 이끄는 페이 쿠세이루 영국 포츠머스대 교수는 “전 세계적인 출산율 감소를 고려할 때 미세플라스틱이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은 매우 시의적절하다”고 밝혔다.
지난 4월 불임 치료를 받는 여성 환자들의 난포액에서도 미세플라스틱이 검출됐다는 연구 결과가 나오기도 했다.
루이지 몬타노 로마대 교수 연구팀이 국제학술지 ‘생태독성학·환경안전’을 통해 발표한 연구를 보면 이탈리아의 한 불임 클리닉에서 보조생식 치료를 받는 여성 18명의 난포액을 검사한 결과, 14명의 난포액에서 미세플라스틱이 확인됐다.
그는 “난포액은 난자 발달에 필수적인 영양소를 제공한다”며 “난포액이 미세플라스틱으로 오염되면 생식 능력·호르몬 균형에 악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크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