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스로 생을 마감한 65세 이상 노인이 연간 3000명 이상, 하루 평균 10명꼴인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가들은 노인 고의적자해(자살)이 젊은 층과는 다른 양상과 배경을 지니는 만큼, 고위험군을 조기에 선별해 적극적으로 개입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강북삼성병원 기업정신건강연구소 오대종 박사는 최근 대한의사협회지에 게재한 글 '노인 자살의 이해와 예방'을 통해 "인 자살은 젊은 연령대와는 구분된 이해와 접근이 필요하다" 밝혔다.
통계청 사망원인 통계에 따르면 2019년부터 2023년까지 5년간 고의적 자해(자살)로 숨진 65세 이상 인구는 1만8044명으로, 해마다 약 3000여명이 자살했다. 특히 2023년 자살한 노인 수는 3838명으로, 이를 기준으로 하루 평균 10.5명이 스스로 목숨을 끊은 셈이다.
2023년 65세 이상 노인의 자살 사망률은 인구 10만명당 40.6명으로, 같은 해 15~64세 연령층의 자살 사망률(28.0명)보다 45%나 높았다. 비록 2019년(46.6명)과 비교해 다소 낮아졌지만, 여전히 현저히 높은 수준이다.
오 박사는 "노인 인구는 전체 인구에 비해 자살률이 월등히 높다"며 "노인 자살에는 우울증뿐 아니라 만성 신체질환, 통증, 경제적 어려움, 사회적 고립, 대인관계 갈등 등 다양한 위험 요인이 복합적으로 관여한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선행 연구에 따르면 노년기 우울증은 젊은 층과 달리 슬픔이나 눈물보다는 무쾌감증, 무기력함 등의 형태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고, 신체 질병 진단 초기일수록 자살 위험이 더 높았다. 배우자의 죽음이나 인간관계 단절, 소속감 상실 또한 중요한 위험 요인으로 작용했다.
그러나 문제는 노인들이 자살 전 정신보건 서비스를 이용하는 비율이 매우 낮고, 몇 차례의 시도만으로도 실제 자살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아 조기 개입이 어려운 구조라는 데 있다.
오 박사는 "노년기에는 자살 시도 대비 완수율이 높고, 정신과적 개입 없이 극단적 선택에 이르는 경우가 많다"며 "자살 고위험 노인을 조기에 선별하고 적절한 개입으로 연결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유지희 한경닷컴 기자 keeph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