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연령대서 이탈 증가…직장·주거 환경 불만 커져
관광객은 회복세…내국인 줄고 외국인 방문 증가
제주도에서 올 상반기에만 순 유출 인구가 3000명을 넘어서면서 인구 유출이 빨라지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더욱이 특정 나이대가 아닌 전 연령대에서 유출이 늘어났다.
23일 통계청이 발표한 ‘국내 인구이동 통계’를 보면 지난 6월 한 달간 제주지역 순 유출 인구는 514명이었다. 타 시도에서 2019명이 전입했지만, 2533명이 제주를 떠난 셈이다.
“제주 떠나는 사람들”…2년 가까이 계속된 탈제주 행렬
앞서 제주도는 지난 2023년 8월부터 23개월 연속 순 유출이 이뤄지고 있다. 올 상반기인 1~6월 제주도의 순 유출 인구는 3026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 동기와 비교하면 834명(38%) 증가한 수치다. 38년 만에 연간 순 유출 최대치를 기록한 지난해 3361명 유출 인구에 육박할 정도다.
이에 일각에서는 인구 유출이 가속화하는 것 아니냐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제주도의 인구 유출이 늘어나는 원인으로는 부족한 일자리와 높은 물가 및 주거비, 생활 인프라 부족 등이 이유로 거론된다.
더 이상 젊은이만 떠나는 게 아니다…모든 세대가 제주를 등진다
최근 유출 인구 연령대를 보면 과거와는 달리 전 연령대로 확대되고 있다. 지난해 상반기 순 유입을 기록했던 30대 22명, 50대 48명은 올해에는 각각 -208명, -139명으로 순 유출로 돌아섰다. 또 40대와 60세 이상에서도 지난해 각각 -108명, -84명이었지만, 올해는 -174명, -226명으로 순 유출 인구가 늘어났다.
한편, 최근 줄어 들었던 제주 관광객의 수는 다시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제주도 월별 관광객 수는 지난 1월 전년 대비 -6.6%, 2월 -18.2%, 3월 -13.9%, 4월 -7.4%, 5월 -1.2% 등 감소했다. 하지만 여름 성수기 효과로 지난 6월 전년 대비 0.7% 증가했고 이달은 7.4% 늘었다.
관광은 살아나는데…사는 건 힘들어진 제주
관광객 분포를 보면 내국인은 줄었지만, 외국인은 증가하고 있다. 내국인 관광객은 586만3105명으로 전년 동기(646만3680명)보다 9.3% 감소했다. 반면 외국인 관광객은 116만798명으로 전년 동기(101만6천143명)와 비교해 14.2% 증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