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자랑하던 53층짜리 아파트 붕괴 우려 커져...전문가들 경고

6 hours ago 3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주도하여 평양에 세운 53층 초고층 아파트 ‘은하’가 심각한 붕괴 우려에 처해 있다.

주민들은 아파트 구조 안전성에 대한 불안을 호소하며 외벽 균열과 타일 탈락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고 전해졌다.

전문가들은 북한의 고층 건물에서 향후에도 유사한 안전 문제가 반복될 가능성이 높다고 경고하고 있다.

회원용

핵심 요약쏙은 회원용 콘텐츠입니다.

매일경제 최신 뉴스를 요약해서 빠르게 읽을 수 있습니다.

[사진출처=연합뉴스, 조선중앙TV 화면 캡처]

[사진출처=연합뉴스, 조선중앙TV 화면 캡처]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주도로 평양 한복판에 세워진 53층 초고층 주상복합 아파트 ‘은하’가 완공 10년만에 심각한 붕괴 우려를 낳고 있다.

자유아시아방송(RFA)은 25일 북한 내부 소식통을 인용해 “평양 미래과학자거리의 53층 아파트 주민들이 구조 안전성에 대한 불안을 호소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해당 아파트 외벽에는 균열이 뚜렷이 보이고, 타일 등이 곳곳에서 떨어진 사진도 공개됐다.

미래과학자거리는 김정은 집권 후 처음으로 평양 중심에 조성된 주택 지구다. 건설에는 군인 건설자와 돌격대가 투입됐다.

북한은 이곳을 ‘최고 수준의 주택 단지’로 선전했다. 김정은은 단지 이름을 직접 짓고 “궁궐 같은 살림집”이라며 자랑했다.

초고층 주상복합아파트 ‘은하’에는 핵·미사일 개발 과학자와 기술자들이 주로 입주한 것으로 알려졌다.

아파트 붕괴 우려가 커진 것은 이른바 ‘속도전’ 때문으로 보인다. 2015년 김 위원장은 지시로 53층 규모 아파트는 9개월 만에 완공됐다.

소식통은 “김정은 시기에 지어진 아파트는 다 엉터리”라며 “최근 건설되는 새 거리나 아파트를 보면 겉모습은 번듯하지만, 건설물의 질은 과거에 지은 아파트보다 못하다”고 RFA에 말했다.

앞서 북한에서는 2014년 5월 평양 평천구역 안산 1동에 있는 23층짜리 아파트가 붕괴해 수백 명이 사망한 것으로 알려졌다. 당시 북한 당국은 사고 발생 소식과 인민보안상(현 사회안전상), 평양시당 책임비서 등이 주민과 유가족에게 공개 사과를 한 사실을 이례적으로 공개한 바 있다.

전문가들은 앞으로도 북한 내 고층 건물에서 유사한 사례가 반복될 가능성이 높다고 경고하고 있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좋아요 0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