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민석 총리 “비자 문제 해결 전까지 대미 투자 진전 불가”

3 weeks ago 14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김민석 국무총리는 미국의 비자 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면 한국 기업의 미국 투자가 진전될 수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그는 근로자들이 미국에 입국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투자 프로젝트가 진행되지 않을 것이라며, 안전 보장 없이 미국행을 주저하는 상황을 설명했다.

또한, 미국 정부의 3500억달러 투자 요구가 한국 경제에 미치는 충격에 대해 우려하며, 이를 받아들일 수 없다는 의견이 많다고 지적했다.

회원용

핵심 요약쏙은 회원용 콘텐츠입니다.

매일경제 최신 뉴스를 요약해서 빠르게 읽을 수 있습니다.

“근로자들, 미국 입국 어려운 상황”
3500억달러 규모 미국 투자 요구에는
“스와프 협정 없다면 한국 경제 충격”

김민석 국무총리가 지난 24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국정현안관계장관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김민석 국무총리가 지난 24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국정현안관계장관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김민석 국무총리가 미국의 비자 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면 한국 기업의 미국 투자가 진전되기 어렵다는 입장을 밝혔다.

김 총리는 25일 공개된 블룸버그와의 인터뷰에서 “비자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다면 실질적인 진전을 기대하기는 사실상 불가능하다”며 “그 때까지 미국에 대한 한국의 투자 프로젝트는 진행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 총리는 “사업이 전면 중단되거나 공식적으로 보류된 것은 아니다”라면서도 “다수의 근로자들이 미국에 입국하거나 재입국하기 매우 어려운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근로자들과 가족들은 안전에 대한 확실한 보장이 없는 상황에서 미국행을 주저할 수밖에 없다”며 “이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 한 다시 미국에 들어가길 꺼리는 것은 당연하다”고 부연했다.

또 김 총리는 미국 정부의 3500억달러 규모의 투자 요구에 대해선 “한·미 간 합의된 투자 규모가 한국 외환보유액의 70%를 웃돈다”며 “미국과의 통화 스와프 협정이 없다면 한국 경제가 큰 충격을 받을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이어 “미국의 요구는 일본의 5500억달러 투자 약속과 유사하다”며 “협상단뿐 아니라 국민들 사이에서도 이를 받아들이기 어렵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좋아요 0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