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문(친문재인)계 적자로 분류되는 김경수 전 경남지사가 13일 21대 대통령 선거 출마를 공식 선언했다. 김 전 지사는 출마 일성으로 "행정수도를 세종시로 완전히 이전하겠다"며 "더 나아가 연방제 수준의 지방자치를 만들겠다"고 말했다.
김 전 지사는 이날 세종시청에서 출마 기자회견을 열고 "내란의 상징인 용산을 더 이상 대통령실로 사용할 수 없으며 대통령이 반드시 서울에 있어야 할 이유가 없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대통령실을 세종시로 옮겨오고 새로운 지방시대를 열겠다"며 "대통령과 중앙정부의 권력을 지방에 더 나누겠다"고 했다.
중앙정부 중심의 국가 운영 기본 틀을 바꾸겠다는 구상이다. 김 전 지사는 "지방자치단체를 지방정부로 헌법부터 바꾸겠다. 자치권도 명문화하겠다"며 "재정과 권한의 자율권도 확대하겠다. 지방정부 중심의 국가 운영 기본 틀을 만들어 '나와 우리'가 사는 세종을 새로운 성장축으로 만드는 대한민국의 대전환을 이루겠다"고 전했다.
김 전 지사는 내란 종식과 개헌도 동시에 강조했다. 그는 "비상계엄 같은 불행한 사태가 다시는 일어나지 않도록 권력을 나누고, 감시하고, 통제할 수 있는 정치개혁, 제도 개혁이 필요하다"며 "대선 이후 400일간의 사회적 공론화와 숙의를 거쳐 다음 지방선거에서 개헌이 이뤄지도록 하겠다"고 했다.
정치개혁에도 나서겠다고 했다. 김 전 지사는 "권력을 나누고, 감시하고, 통제할 수 있는 정치개혁, 제도 개혁이 필요하다. 100일의 대타협, 5년의 비상대책정부를 통해 1만 일의 대계획과 비전을 만들겠다"며 "다음 정부 출범 즉시 '100일의 대타협과 비전 만들기’를 추진해 내란에 반대하고 헌법을 수호하는 세력이 함께 모여 국가적 위기의 해법과 미래 비전을 치열하게 토론하고 ‘빛의 연정’을 구성하기 위한 합의를 만들겠다"고 했다.
국가 성장의 3대 축으론 인공지능(AI)과 디지털 전환, 기후경제 선도, 인재 양성을 꼽았다. 김 전 지사는 "AI와 디지털을 활용해 제조업 경쟁력을 강화하고 새로운 혁신 기업이 성공할 수 있는 생태계를 만들겠다"며 "기후 위기에 적극적으로 대응해 에너지 전환을 이뤄내 연간 50만개의 양질의 일자리를 만들어 내겠다"고 했다.
김 전 지사는 국가투자도 늘리겠다고 강조했다. 그는 "국가가 전략적으로 투자하고 국민의 삶을 직접 지키게 하겠다"며 "양극화와 불평등의 경제 구조, 이로 인한 분열과 갈등의 세상 대신 정부와 기업, 국민이 서로 믿고 참여해 함께 더 큰 성장을 이루는 경제, 공정하게 결과를 공유해 지속이 가능한 성장 토대를 만들어 가는 나라를 만들겠다"고 강조했다.
김 전 지사는 "겸손한 권력으로 강한 나라를 만들겠다. 빛의 연대로 ‘나와 우리의 나라’를 만들겠다"며 "국가와 자치정부, 국민이 한마음이 돼 나와 우리, 모두가 번영하는 대한민국을 만들겠다"고 덧붙였다.
세종=배성수 기자 baeba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