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힘 경선에 '한덕수 출마'가 화제몰이?…견제 바쁜 후보들 [정치 인사이드]

5 hours ago 2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 사진=연합뉴스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 사진=연합뉴스

국민의힘 대통령선거 후보를 선출하기 위한 경선이 진행 중인 가운데,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의 대선 출마 가능성이 커지면서 당내 혼란이 가중하고 있다. 한 대행이 출마 채비를 시작하면서 국민의힘 경선 후보들은 불편한 심경을 숨기지 못하는 분위기다.

28일 정치권에 따르면, 한 대행은 대선 출마 결심을 굳히고 내달 초 공식 출마 선언을 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 한 대행의 최측근으로 알려진 손영택 국무총리 비서실장이 사직서를 제출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한 대행의 사퇴 및 출마 임박설에 무게가 실렸다.

국민의힘 경선에서는 최종 후보가 선출되기도 전에 '한 대행과의 단일화'가 화두에 올랐다. 후보들은 저마다 한 대행과 단일화 의지가 있음을 밝힌 바 있다. 국민의힘 지지자들이 한 대행과의 단일화까지 고려해 후보를 선출할 수 있다는 전망이 반영된 전략이었다.

홍준표 후보는 전날 한 대행과 단일화에 대해 "(당의) 최종 후보가 되면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와 단일화 토론을 두 번 하고 원샷 국민 경선을 하겠다"며 "내가 우리 당 대통령 후보가 못 되더라도 이재명(민주당 대선 경선 후보)만 잡을 수 있다면 흔쾌히 그 길을 택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김문수 후보 역시 전날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와 흔들림 없이 단일화를 주장한 후보"라고 했다. 다른 후보들이 한 대행과 단일화에 부정적 입장을 보일 때도 한 대행과 단일화에 적극적인 입장을 취했음을 강조한 것이다.

지난 26일 서울 중구 매경미디어센터에서 열린 국민의힘 대통령 선거 제2차 경선 후보자 토론회에서 경선 후보들이 토론에 앞서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안철수, 한동훈, 김문수, 홍준표 경선 후보. /국회사진기자단

지난 26일 서울 중구 매경미디어센터에서 열린 국민의힘 대통령 선거 제2차 경선 후보자 토론회에서 경선 후보들이 토론에 앞서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안철수, 한동훈, 김문수, 홍준표 경선 후보. /국회사진기자단

그러나 실제로 한 대행의 출마가 임박해지자 후보들은 한 대행 견제에 나서는 분위기다. 국민의힘 최종 후보로 선출되더라도 '단일화'의 산을 한 번 더 넘어야 할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이다.

김문수 후보는 이날 매일신문 유튜브에 출연해 "대한민국호 전체를 이끌고 가는 선장인데 대통령에 출마하겠다고 그만둘 수 있는 명분이 약하다"며 "여론조사에서 3분의 2 이상이 출마해서는 안 된다고 그런다"고 말했다.

또 "한 권한대행은 반기문 (전) 유엔사무총장과는 달리 완전히 전통적인 행정관료이자 늘공(늘 공무원·직업공무원)"이라며 "(관료는) 안전한 다리도 두들겨가면서 건너는 특성이 있는데 과연 위험한 정치판에 끼어들 수 있겠나"라고 했다.

홍준표 후보 역시 페이스북을 통해 "탄핵당한 정권의 총리, 장관, 당 대표가 대선 출마하는 게 상식에 맞나"라며 한 대행, 김 후보, 한동훈 후보 등을 싸잡아 비판했다.

한 후보는 이날 충남 아산시 현충사를 방문한 뒤 기자들과 만나 '단일화론'에 대해 "경선 과정에서 자꾸 그런 얘기하는 건 좋아 보이지 않는다. 패배주의 아닌가"라고 말했다.

하지만 권영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은 한 후보의 발언 관련해 "야권 원로 정치인에게 향후 예상되는 반명(反이재명) 단일화나 소위 빅텐트 과정에서 우리 당을 도와달라 부탁하는 것이 뭐가 부적절하고 왜 패배주의인지 잘 모르겠다"는 반응을 보여 불협화음을 표출했다.

한편 정치권에서는 국민의힘 후보와 한 대행과의 단일화가 성사될 경우, 반(反)이재명 빅텐트에는 속도가 붙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한 대행 측은 이번 대선에서 불출마를 선언한 원희룡 전 국토교통부 장관이나 오세훈 서울시장 측과도 적극적으로 소통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 사표를 낸 손 실장은 국민의힘 '양천을 당협위원장'을 지냈는데, '양천갑'에서 3선을 한 원 전 장관과도 가까운 사이로 통한다. 원 전 장관 측은 다만 한 대행 캠프에 합류한 것은 아니라는 입장을 밝혔다.

이슬기 한경닷컴 기자 seulkee@hankyung.com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