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정보원은 러시아에 파병된 북한군 중 600여 명이 사망하는 등 총 4700명의 사상자가 발생한 것으로 30일 파악했다. 북한이 러시아로부터 파병과 무기 수출 대가로 정찰 위성과 발사체 기술 자문 등을 제공받았다는 게 국정원 분석이다.
이성권 국민의힘 의원과 김병기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이날 국회 정보위원회 비공개 간담회에서 국정원이 이 같은 내용을 보고했다고 밝혔다. 국정원에 따르면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 투입된 북한군은 총 1만5000명 수준이다. 국정원은 “북한은 지난해 10월, 올해 1~2월 등 두 차례에 걸쳐 각각 1만1000명, 4000명의 군인을 파병했다”고 했다.
파병 북한군 사상자 가운데 절반가량인 2000여 명은 올 1~3월 북한에 송환돼 평양 등지에 격리 수용됐다고 전했다. 국정원은 또 북한의 3차 파병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봤다. 국정원은 “북한은 파병 공식화 문건을 통해 추가 지원을 시사한 데다 특수전 훈련도 강화하고 있다”고 했다.
북한군은 러·우 전쟁 참전 초기엔 미숙한 전투 태세를 보였다고 한다. 다만 참전 6개월이 지난 최근엔 무인기 등 신형 무기 장비 사용에 익숙해져 전투력이 상당히 향상된 것으로 국정원은 분석했다.
북한은 대러 파병과 수십억달러 규모 미사일, 포탄 등 무기를 수출한 대가로 러시아에서 일부 경제·군사적 이익을 제공받은 것으로 파악됐다. 현금 지원 동향은 발견되지 않았지만 정찰위성과 발사대 기술 자문, 무인기 실물, 전자전 장비, 대공미사일(SA-22) 등을 받은 것으로 국정원은 분석했다. 국정원은 “북한은 금속·항공·에너지·관광 등 14개 부문에서 산업 현대화를 논의하고 있다”며 “북한 노동자 1만5000명 정도가 러시아에 송출됐다”고 했다.
배성수 기자 baeba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