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기획위 간담회서 그리드위즈 “수요자원, 보상 현실화 없인 유연성 확보도 없다”

4 hours ago 2

인공지능(AI) 산업 육성을 위한 전력망 확보가 시급한 가운데, 수요자원(DR)에 대한 제도적 뒷받침 없이는 전력망 유연성 확보 자체가 어려워질 수 있다는 산업계의 목소리가 나왔다.

기후테크 기업 그리드위즈(대표 김구환)는 지난 3일 열린 국정기획위원회 경제2분과 '에너지고속도로 및 기후테크 기업 간담회'에 참석해, DR 시장 정산 체계의 현실화와 제도 정비 필요성을 강력히 제안했다.

김구환 대표는 이 자리에서 “AI 기술이 전력망 운영 전반에 접목되며, 수요자원 등 유연성 자원이 핵심 인프라로 부상하고 있다”며 “그러나 현재 DR 정산 구조는 이같은 흐름을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국정기획위 간담회서 그리드위즈 “수요자원, 보상 현실화 없인 유연성 확보도 없다”

특히 플러스 DR, 신속(fast) DR과 같은 신규 자원은 계통 기여도가 높고 응답 속도가 빠름에도 불구하고, 정산 단가가 고정되거나 산정 근거가 불분명해 시장 참여 유인이 크게 떨어진다고 했다.

그리드위즈는 한전과 전력거래소가 유사한 목적의 DR 프로그램을 각기 운영하면서 보상 수준에 큰 격차가 발생하고 있다는 점도 문제로 지적했다.

실제로 신속 DR의 경우 전력거래소 실적급 정산은 ㎾당 6632원 수준인 반면, 유사제도인 한전 부하차단제는 ㎾당 9만8400원으로 약 15배의 차이를 보이고 있다.

김 대표는 “에너지 유연성을 강조하는 정부 정책의 방향성과 달리, 실제 운영 제도는 제각각이고, 기업들은 형평성 없는 보상 기준에 혼란을 겪고 있다”고 호소했다.

그리드위즈는 또 하나의 구조적 문제로, DR 기본정산금이 지속적으로 낮아지는 점도 제기했다.

2019년 이후 정산 방식이 복잡해지고, 2023년엔 시간대별 용량가격 계수(TCF), 2025년엔 지역별 차등계수의 도입이 예정되는 등 참여 기업의 수익 예측이 어려워졌고, 이로 인해 기존 고객의 이탈과 신규 자원의 참여 저조라는 '이중 위축'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김 대표는 “DR은 민간 기업이 투자와 운영을 책임지는 유연성 자원인 만큼, 예측 가능한 보상 체계가 유지되어야 지속적인 시장 참여와 기술 고도화가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국정기획위원회는 이와 관련 “AI 기반 전력망은 에너지고속도로의 핵심이며, 기후테크 기업은 재생에너지 대전환을 이끄는 성장 동력” 이라며 “기업들이 제안한 제도 개선·기술 확산·데이터 공개 등의 의견을 새 정부의 에너지 국정과제에 적극 반영하겠다”고 약속했다

이경민 기자 kmlee@etnews.com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