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실 펄펄 끓는데”…‘이것’ 멈춘 학교에 인천 학부모 뿔났다

9 hours ago 3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세수 결손으로 3년 연속 지방교육재정교부금이 감소하면서 인천시교육청의 교육 재정 운용에 비상이 걸렸다.

이에 따라 시 교육청은 예산비상대책 태스크포스를 구성하고 필수 지출을 제외한 나머지 사업을 재검토하기로 했다.

인천교사노조는 예산 부족이 학생 건강과 학습 환경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며, 학교 예산을 현장 중심으로 조정할 것을 촉구하고 있다.

회원용

핵심 요약쏙은 회원용 콘텐츠입니다.

매일경제 최신 뉴스를 요약해서 빠르게 읽을 수 있습니다.

[사진출처=연합뉴스]

[사진출처=연합뉴스]

세수 결손으로 3년 연속 지방교육재정교부금(교육교부금)이 감소하면서 인천시교육청의 교육 재정 운용에 비상이 걸렸다.

12일 인천시교육청은 이상돈 부교육감을 단장으로 하는 ‘예산비상대책 태스크포스(TF)’를 구성했다고 밝혔다.

예산비상대책 TF는 올해 하반기 인건비와 학교 신·증설비 등 필수 지출을 제외한 나머지 사업을 전면 보류하고 재검토에 나섰다.

정부는 최근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10조3000억원 규모의 세입 경정을 단행하면서 교육교부금은 1조9982억원이 감액됐다.

이에 따라 시 교육청이 받을 교육교부금은 1070억원가량이 줄어들 전망이다.

교육교부금은 정부가 시·도 교육청에 나눠주는 세금으로 내국세 총액의 20.79%와 교육세 일부로 구성된다.

지난 2023년과 지난해에도 정부의 2차 추경에서 각각 교육교부금이 5541억원, 2080억원씩 준 데 이어 이번까지 3년 연속 감액이다.

재정 운용에 어려움을 겪자 시 교육청은 오는 12월분 학교별 기본운영비 197억원을 내년 1월로 이월 지급하기로 했다.

다만 재정 부족이 우려되는 병설 유치원, 소규모 학교, 특수학교 등은 기존대로 지급할 방침이다.

인천 한 초등학교는 운영비 부족으로 폭염 특보가 내려진 지난 7일 오전 1시간 동안 교실을 포함한 학교 시설의 에어컨을 멈췄다가 학부모 항의로 하루 만에 철회하기도 했다.

인천교사노조는 “예산 부족으로 학생 건강과 학습 환경에 직결된 사례가 발생하고 있다”며 “예산을 학교 현장 중심으로 조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시 교육청은 감액 이후에도 예산이 부족할 경우 통합재정안정화기금을 사용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하지만 올해 말 예상되는 기금 잔액은 351억원으로 실제 가용할 수 있는 금액이 많지 않아 일부 사업 차질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인천시교육청 관계자는 “학교 측에서 예산이 줄었을까 봐 불안해해서 관계자들을 대상으로 설명회를 열었다”며 “재정 상황이 어려워지긴 했으나 학교 현장에는 피해가 없도록 예산을 조정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좋아요 0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