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명 하안주공, 2.6만가구 '미니신도시'로

1 day ago 3

수도권 재건축 시장 ‘숨은 대어’인 경기 광명 하안주공1~12단지 재건축이 본궤도에 오르고 있다. 사업 기간을 2~3년 단축할 수 있는 신탁 특례를 이용해 속도를 내는 게 특징이다. 추가 분담금 등은 걸림돌로 꼽힌다. 서울 서남권과 붙어 있는 데다 총 2만 가구가 넘는 ‘미니 신도시’로 조성돼 관심이 커지고 있다.

◇2만6000여 가구로 재건축

광명 하안주공, 2.6만가구 '미니신도시'로

17일 업계에 따르면 하안주공 12개 단지 중 일부 단지는 재건축 첫 단계인 정비구역 지정을 통과한 데 이어 이르면 연내 시공사 입찰 공고를 낼 전망이다.

하안주공은 1980년대 후반 서울 주택난을 해소하기 위해 광명 하안동 일대에 조성된 대규모 아파트단지다. 당시로선 고층인 15층에 동 간 간격도 넓어 인기가 많았다. 하지만 지어진 지 30년이 지나 건물이 낡고, 주차 공간이 부족해 재건축 필요성이 커졌다.

영구임대인 13단지를 제외한 1~12단지 2만192가구가 재건축을 거쳐 약 2만6000가구의 아파트촌으로 재탄생할 예정이다. 1·2단지, 3·4단지, 5단지 등 총 8개 특별계획구역으로 나뉘어 재건축이 추진되고 있다.

신탁 방식을 택한 곳이 사업 속도가 빠르다. 대한토지신탁과 KB부동산신탁 컨소시엄을 시행사로 정한 3·4단지는 올해 5월 정비구역으로 지정된 데 이어 지난달 하안주공 최초로 소유자 전체회의를 열어 정비사업위원회 구성과 설계업체 선정 안건을 처리했다. 기존 3566가구가 재건축 후 최고 44층, 4119가구로 늘어난다.

한국자산신탁이 시행을 맡은 5단지도 5월 정비구역 지정에 이어 지난달 말 전체회의를 열었다. 기존 2176가구가 최고 45층, 2810가구로 거듭난다. 6·7단지(한국토지신탁)는 주민 공람을 끝내고 정비 구역 지정을 앞두고 있다. 2602가구가 3263가구로 바뀐다. 9단지(교보자산신탁)와 10·11단지(한국자산신탁), 12단지(하나자산신탁)도 정비구역 지정을 앞뒀다.

지난해 도시정비법 개정으로 도입된 ‘신탁사 특례 제도’ 덕에 빠른 사업 추진이 가능하다. 신탁사가 정비계획 수립 없이 정비구역 지정을 먼저 제안할 수 있도록 하고, 정비구역 지정과 사업계획 수립을 동시에 할 수 있도록 허용했다. 절차를 줄여 사업 기간을 2~3년 단축할 수 있다.

◇역세권 변신 기대 커져

1·2단지와 8단지는 조합 방식을 택했다. 8단지는 정비구역 지정 전 추진위원회를 구성할 수 있게 한 ‘재건축 패스트트랙’을 활용해 속도를 내고 있다. 추진위 설립 인가를 받으면 주민 총회, 정비구역 지정 신청, 조합 설립 순서로 진행한다. 1·2단지는 조합 방식과 신탁 방식을 놓고 뒤늦게 의견이 갈리면서 발목을 잡혔다.

재건축 기대로 매매가 활발하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올해 1월 43건, 2월 52건에 그쳤던 하안주공 거래량은 5월 111건, 6월 184건으로 급증했다. 대출 규제 후인 7월과 8월에도 각각 91건, 80건으로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단지별로 사업성과 입지 편차가 크다. 12단지는 대지지분이 크고, 지하철 1호선 독산역과 가까워 하안주공 ‘대장 단지’로 꼽힌다. 10·11단지도 독산역과 가깝다. 8단지는 대지지분이 크다. 5단지는 산 아래 있어 쾌적하지만, 지하철역이 멀다. 3·4단지와 10·11단지는 대지지분이 작다. 하지만 각각 4000가구 대단지로 재건축해 사업성이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추가 분담금이 수억원 나올 수 있고, 일부 단지를 빼곤 지하철역에서 멀다는 게 단점으로 지적된다. 교통은 경기 시흥 신천역에서 광명, 서울 금천구를 거쳐 관악구 신림역을 잇는 신천신림선 추진에 따라 크게 바뀔 수 있다. 하안사거리에 역이 생기면 하안주공 대부분이 역세권으로 변한다.

임근호 기자 eigen@hankyung.com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