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유예 시한 임박 증시 판도 뒤바뀌나 [MBN GOLD 시황저격]

8 hours ago 1
입력 :  2025-07-03 16:11:43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상호관세 정책이 7월 9일에 큰 변화를 겪을 것으로 예상되며, 유예기간 종료 후 관세 부과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미국 재무부는 협상에 성실하게 임하는 국가라도 상호관세를 재부과할 것이라며 강경한 태도를 유지하고, 한국 자동차 산업에 대한 압박을 강조했다.

한국은 협상에서 경제적 충격을 최소화하기 위해 유연성과 강단을 발휘해야 할 상황이다.

회원용

핵심 요약쏙은 회원용 콘텐츠입니다.

매일경제 최신 뉴스를 요약해서 빠르게 읽을 수 있습니다.

7월 9일 올 것이 온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상호관세 정책이 7월 8일 유예 시한 종료를 앞두고 글로벌 무역의 뜨거운 감자로 떠오르고 있다. 백악관은 이번주 트럼프 대통령이 국가별 상호관세율을 최종 결정할 것이라고 밝히며 무역협상 상대국들과 일괄 타결하는 대신 단계적 합의를 모색 중이라고 전했다. 이는 당초 목표였던 90일 내 90개국과 포괄적 무역협상 체결이 어려워졌기 때문이다.

트럼프 행정부는 지난 4월 5일 모든 무역 상대국에 10% 기본 관세를 부과하고, 한국을 포함한 56개국과 유럽연합(EU)에 차등화된 상호관세를 4월 9일 발효했다가 13시간 만에 90일간 유예했다. 중국은 유예 대상에서 제외됐으며, 이후 협상을 통해 8월 11일까지 관세를 145%에서 30%로 낮췄다. 영국은 10%의 낮은 관세율로 합의한 바 있다. 유예기간은 7월 8일 종료되며, 트럼프 대통령은 추가 연장 의사가 없음을 분명히 밝혔다. 미국 재무부는 "성실히 협상하는 국가라도 협상에서 선을 넘으면 상호관세를 재부과할 것"이라며 강경한 태도를 유지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특히 한국에 대해 "한국 자동차에 낮은 관세는 없다"며 압박을 가했다. 한국 자동차 산업이 미국 시장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만큼 관세 부과가 현실화할 때 상당한 파장이 예상된다.

현재까지 트럼프 행정부는 유예기간 연장을 고려하지 않는다고 공언했으며, 7월 9일부터 협상이 타결되지 않은 국가에 상호관세를 부과할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백악관과 미 당국자들은 시간 부족과 협상의 복잡성으로 인해 포괄적 합의 대신 '범위가 좁고 단편적인' 단계적 합의를 추진 중이다. 영국 일간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미국은 적극적인 국가들과 우선 합의한 뒤 추가 협상을 이어가려는 전략을 구사하고 있다.

최근 한국과 미국 간 정상회담이 7월 말로 조율 중이며, 7월 말께 한미정상회담이 이뤄질 수 있다는 관측에 일각에서는 유예 연장 가능성을 제기하고 있다. 만약 회담이 추진된다면 관세 유예 연장 또는 관세율 완화 논의가 핵심 의제가 될 가능성이 크다.

트럼프의 상호관세 정책은 7월 9일이라는 중대한 분수령을 앞두고 있다. 한국은 자동차 산업을 중심으로 한 경제적 충격을 최소화하기 위해 협상에서 유연성과 강단을 모두 발휘해야 한다.

[김준호 매일경제TV MBNGOLD 매니저]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좋아요 0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