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최대 노조연합 "임금 인상률 5.25%", 대기업 중심 상승

5 hours ago 1

日 렌고 “2년 연속 5%대 인상”
실질임금은 4개월 연속 감소세

  • 등록 2025-07-03 오후 9:09:13

    수정 2025-07-03 오후 9:09:13

일본 도쿄의 한 시장 [사진=AFP·연합뉴스]

[이데일리 마켓in 송재민 기자]일본 최대 노동조합 연합체인 렌고(일본노동조합총연합회)가 올해 봄 임금협상인 ‘춘투’ 결과를 최종 집계한 결과, 평균 임금 인상률이 5.25%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렌고는 7월 3일 기자회견을 열고 이번 춘투 협상 결과를 발표했으며, 이는 2023년보다 0.15%포인트 높은 수치이자, 2년 연속 5%대 인상률을 이어간 것이다.

교도통신에 따르면, 특히 대기업을 중심으로 임금 인상 흐름이 확대되고 있는 반면, 중소기업의 인상률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중소기업의 평균 인상률은 4.65%로, 지난해보다 0.2%포인트 상승하긴 했지만 여전히 5%에는 미치지 못했다.

렌고 측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강한 임금 인상 흐름이 유지됐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평가가 가능하다”고 밝혔다. 다만 이러한 임금 인상은 주로 대기업을 중심으로 나타났으며, 중소기업은 여전히 인상 폭이 낮은 수준에 머물렀다. 렌고 조사에 따르면 중소기업의 평균 임금 인상률은 4.65%로, 작년보다 0.2%포인트 높아지기는 했지만 대기업과의 격차는 여전한 상황이다.

이에 “임금 인상 흐름이 확실히 사회 전반으로 확산되고 있는 것은 맞지만, 여전히 중소기업의 인상률이 5%를 넘지 못한 점은 아쉽다”며,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임금 격차가 해소되지 않고 있는 점은 과제로 남는다”고 전했다.

한편, 명목 임금 상승에도 불구하고 물가 상승을 감안한 실질임금은 여전히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다.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은 후생노동성 자료를 인용해 올해 4월 기준 실질임금이 전년 동기 대비 2.0% 줄어들었다고 보도했다. 실질임금 감소는 4개월 연속이다.

닛케이는 “춘투를 통해 확정된 인상분이 본격적으로 반영되는 시점은 5월 이후”라며, 물가 상승 속도를 감안할 때 가을 이후 실질임금이 플러스로 전환될 가능성이 있다는 전문가 의견을 덧붙였다.

한편 일본 정부와 기업들은 지난 몇 년간 지속되는 디플레이션 탈피와 소비 진작을 위해 임금 인상을 촉진해왔다. 기시다 후미오 총리 역시 임금 상승이 경제 회복의 핵심 축이라고 강조하며 기업들에 적극적인 임금 인상을 요구해왔다. 이런 배경 속에서 2년 연속 5%대 임금 인상은 일정 부분 정부 정책과 기업 대응이 효과를 낸 것으로 평가된다.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