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취임 이후 대대적으로 확대한 관세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소매업계 최고경영자(CEO)들과 만났다. 예정에 없었던 만남을 추진할 만큼 관세 여파에 대한 민심 관리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CNBC를 비롯한 미국 언론들은 21일(현지시간) 트럼프 대통령이 백악관에서 월마트의 더그 맥밀런 CEO, 타깃의 브라이언 코넬 CEO, 홈디포와 로우스(Lowe's)의 고위급 인사 등과 만났다고 전했다. 이는 당초 백악관이 사전에 공개한 트럼프 대통령 일정엔 없었던 행보다.
미국 전국에 체인망을 가진 이들 소매업체는 차이는 있지만 저렴한 외국산 수입품에 상당 부분 의지해 '트럼프발 관세전쟁'의 피해를 가장 가까이서 입은 분야 중 하나다. 특히 이들은 트럼프 대통령의 백악관 복귀(1월 20일) 이후에만 누적 145%로 치솟은 미국의 대(對)중국 관세 영향을 피하기 어려웠다.
그런 만큼 이날 CEO들은 트럼프 대통령에게 대중국 고율 관세와 현재 미국이 전 세계 절대다수 국가를 상대로 부과하고 있는 10%의 기본 관세(보편관세)가 사업에 미친 영향을 설명했을 것으로 보인다. 또 관세가 제품 가격 상승 압박으로 작용할 경우 결국 소비자들의 부담으로 돌아갈 수 있다는 점을 거론했을 확률도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관세 여파를 관리하는 모습을 시장과 자국민에게 강조한 것으로 해석된다. 소매업계는 난관에 봉착한 상황을 설명하고 정책 조정에 대한 기대의 목소리를 전하는 기회가 됐다는 관측이다.
백악관 회의 후 월마트 대변인은 "우리는 트럼프 대통령, (관세) 관련 팀과 생산적인 회의를 했다"며 우리의 통찰력을 공유할 기회를 준 데 감사한다"고 말했다. 타깃도 성명을 통해 "우리는 트럼프 대통령과 생산적인 회의를 했다"며 "우리 소매 업계는 무역에서의 전진 방안을 논의했다. 우리는 미국 소비자들을 위한 가치를 창출하는 데 계속 헌신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박수빈 한경닷컴 기자 waterbea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