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가 해병대 채 상병 사망 및 수사외압 의혹 사건의 핵심 피의자인 임성근 전 해병대 1사단장의 휴대전화 디지털 포렌식 절차를 30일 재개하기로 했다. 임 전 사단장 휴대전화 포렌식이 재개되면 관련자 수사도 4개월 만에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28일 임 전 사단장에 따르면 공수처는 30일 오전 9시 반부터 임 전 사단장의 휴대전화 포렌식 선별작업을 진행한다. 앞서 임 전 사단장은 공수처에 포렌식 선별작업 참관을 위해 출석했지만 공수처와 선별 과정을 녹음을 두고 이견을 보이면서 포렌식이 불발됐다.
임 전 사단장은 이날 “공수처가 녹음요청을 수용하지 않고, 검토가 필요하다는 이유로 아예 포렌식 절차 자체를 중단하는 것을 보면서 이번 일을 수사 지연의 또 다른 사유 내지 명분으로 삼을까 걱정됐다”며 “많은 고민 끝에 ‘녹음 허락 요청을 철회’로 의견을 변경했다”고 밝혔다.
공수처는 지난해 1월 해병대와 국방부 관계자들을 압수수색 하는 과정에서 임 전 사단장의 휴대전화를 확보했지만 비밀번호 잠금을 풀지 못해 내용을 확인하지 못한 상태다.임 전 사단장은 지난해 7월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청문회에 출석해 “(비밀번호를) 알려줄 의사는 있다”면서도 “기억하지 못하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임 전 사단장은 23일 포렌식 참관차 공수처에 출석한 자리에서도 “(휴대폰) 비밀번호는 그때도 기억을 못 했고, 지금도 기억이 나지 않는다”고 했다.
공수처가 임 전 사단장 휴대전화 포렌식을 예정대로 진행하면 관련자 수사 역시 다시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공수처는 군 관계자들과 구명 로비 의혹과 연관된 참고인들을 불러 조사하고 수사 외압 의혹 관련자들의 통신 기록 등을 확보한 바 있다. 다만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 및 대통령실 관계자 등 이른바 ‘윗선’까지는 수사를 진척시키지 못했다. 그러던 중 12·3 비상계엄 선포 사태와 맞물려 공수처 수사는 잠정 중단됐다. 수사 인력이 상대적으로 적은 공수처가 사실상 수사 인력 전원을 비상계엄 수사에 투입했기 때문이다.공수처 관계자는 “(외압 의혹을 폭로한) 박정훈 전 해병대 수사단장(대령) 관련 재판이 시작됐고, 1심 결과도 나온 상황”이라며 “이제 (채상병 수사외압 의혹 사건도) 수사를 안 할 수 없는 상황이니 시점을 정해서 수사 관련 절차를 진행해야겠다는 수사팀 판단”이라고 설명했다.
공수처는 이 전 장관을 비롯해 이시원 전 대통령공직기강비서관, 임기훈 전 대통령국방비서관 등에 대한 조사까지 추후 진행한다는 방침이다.
송유근 기자 big@donga.com
- 좋아요 0개
- 슬퍼요 0개
- 화나요 0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