같은 단지, 같은 동에서 신고가 '폭주'…'여보, 지금이라도 살까' [분석+]

20 hours ago 2

서울 아파트 전경. 사진=연합뉴스

서울 아파트 전경. 사진=연합뉴스

서울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구)와 용산구가 토지거래허가구역(토허구역)으로 지정된 가운데 토허구역에서 빗겨난 지역 중 상급지로 꼽히는 마·용·성·광(마포·용산·성동·광진구) 아파트 단지에서 신고가 거래 소식이 줄을 이었다. 다만 최근 사례는 토허구역 지정 전 거래된 매물의 신고 건인 만큼 신고가 행진이 끝나면 당분간 횡보할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중론이다.

4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마포구 염리동에 있는 '마포프레스티지자이' 전용면적 84㎡는 지난달 13일 24억원에 손바뀜했다. 직전 거래는 지난해 6월로 19억9000만원이었는데 9개월 만에 4억1000만원이 뛰어 신고가를 기록했다.

현석동에 있는 '래미안웰스트림' 전용 84㎡도 지난달 22일 23억5000만원에 팔려 올해 최고가를 기록했다. 토허구역이 재지정되기 전 거래된 매물이다. 지난 1월 20억원보다 3억5000만원이 더 올랐다.

성동구에서도 신축과 구축을 가리지 않고 신고가가 쏟아지고 있다. 옥수동에 있는 '래미안옥수리버젠' 전용 84㎡는 지난달 2일 23억5000만원에 거래됐다. 지난 1월만 해도 19억원에 팔렸던 면적대로 당시보다 4억5000만원이 올라 최고가를 기록했다.

성수동2가에 있는 '한신한강' 전용 84㎡도 토허구역 확대 지정이 시작된 지난달 24일 26억원에 새 주인을 찾아 올해 최고가를 새로 썼다. 같은 동 '청구강변1' 전용 84도 지난달 13일과 15일 각각 25억원에 거래돼 신고가를 터치했다.

광진구에도 수요가 몰렸다. 광장동에 있는 '광장힐스테이트' 전용 84㎡는 지난달 17일 22억원에 거래돼 직전 거래인 20억6000만원보다 1억4000만원 올랐다. 같은 동에 있는 '극동1' 전용 84㎡도 지난달 11일 19억원에, '극동2' 전용 84㎡도 지난달 18일 18억7000만원에 팔려 최고가를 기록했다.

송파구에 있는 한 부동산 공인중개업소. 사진=연합뉴스

송파구에 있는 한 부동산 공인중개업소. 사진=연합뉴스

동작구도 비슷하다. 흑석동에 있는 '흑석리버파크자이' 전용 84㎡ 입주권은 지난달 4일 19억3500만원에 거래돼 최고가를 기록했다. 같은 동 '한강현대' 전용 84㎡ 역시 지난달 25일 19억3000만원에 팔려 역대 최고가를 찍었다.

성동구 옥수동에 있는 A 공인 중개 관계자는 "잠·삼·대·청(잠실·삼성·대치·청담)이 토허구역에서 해제되면서 강남권 거래가 활발해지지 않았느냐"며 "이런 분위기가 비강남권 중 수요가 많은 성동이나 마포 등으로 넘어오면서 신고가 거래가 나온 것"이라고 귀띔했다.

다만 지난달 24일 토허구역이 강남 3구와 용산구 등으로 확대 지정된 이후에도 문의는 있지만 거래 자체는 뜸하다는 게 현지 부동산 공인중개업소들의 설명이다.

광진구 광장동에 있는 B 공인 중개 관계자는 "토허구역 확대 지정 이후 강남권에 집을 사기 어려워졌으니 주변 지역으로 수요가 몰릴 것이란 얘기가 많이 나오면서 문의가 꽤 있었다"면서도 "하지만 가격이 짧은 기간에 너무 가파르게 치솟으면서 집주인들은 더 높은 가격에, 실수요자들은 조금이라도 낮은 가격에 사려는 분위기가 강해졌다. 거래 자체는 뜸하다"고 말했다.

동작구 흑석동에 있는 C 공인 중개 관계자도 "아직은 신고가가 이어지고 있지만 과열이 되면 마포나 성동, 동작 등도 규제 지역으로 묶일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면서 분위기 자체가 식고 있다"고 설명했다.

서울 송파구 롯데월드타워에서 바라본 강남 아파트 단지 모습. 사진=뉴스1

서울 송파구 롯데월드타워에서 바라본 강남 아파트 단지 모습. 사진=뉴스1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당분간 쉬어가는 분위기가 나타날 것이란 의견이 많다. 함영진 우리은행 부동산리서치랩장은 "단기 급등한 서울 아파트 거래 시장이 토허구역 지정 이후 숨을 고르고 있다"며 "상급지 갈아타기 등 추격 매수가 일부 진정되면서 한강변 비규제지역으로의 풍선효과도 미미한 상황"이라고 짚었다.

이어 "수도권 주요 지역을 중심으로 주택담보대출과 거래 시장의 불법행위 단속을 정부가 공언한 만큼 당분간 거래 시장에서 휴지기가 이어지면서 이달 서울 부동산 시장은 한 박자 쉬어가는 분위기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송승현 도시와경제 대표도 "토허구역 확대 지정 이후 시장 전체가 움직이기보단 선별적으로 물건을 찾는 수요가 많다"며 "예컨대 비규제지역의 빌라, 재건축 호재가 있는 아파트 등 범위가 굉장히 좁아졌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거래량 자체는 줄어들겠지만 이에 따라 가격이 영향을 받을진 지켜봐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토허구역 확대 지정으로 집값은 엇갈리고 있다.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3월 다섯째 주 기준 서울 집값은 전주보다 0.11% 오르면서 전주 상승률을 유지했다.

서울 25개 자치구 가운데 성동구가 0.3% 오르면서 가장 높은 상승 폭을 기록했다. 마포구의 경우 0.18%, 광진구는 역시 0.13% 상승했다. 반면 강남 3구와 용산구는 집값 상승 폭이 가파르게 줄어들고 있다. 강남구는 0.21% 올라 토허구역 지정 전인 이달 셋째 주 기록한 0.83%보다 큰 폭으로 낮아졌다. 송파구도 0.28%, 용산구도 0.2%를 기록해 규제 해제 전보다 상승 폭이 줄었다.

매물도 크게 줄었다. 부동산 정보제공 앱(응용프로그램) 아파트실거래가에 따르면 전날 기준 토허구역 확대 지정이 시행된 열흘 전 대비 서울 아파트 매물은 0.6% 줄었다. 자치구별로 보면 송파구가 6583건에서 5653건으로 14.2% 쪼그라들었다. 서초구도 12.2%, 강남구도 8.5% 감소했다. 용산구(-6%), 강동구(-0.8%) 등도 매물이 감소했다.

이송렬 한경닷컴 기자 yisr0203@hankyung.com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