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오개혁, 일본의 강권적 개입으로 민중 반발 불러와”

4 hours ago 1

日 차세대 한국 연구자 5명
동북아재단 학술회의서 발표

21일 동북아역사재단 주최 국제 학술회의 ‘일본에서 본 한일관계’ 참가자들. 동북아역사재단 제공

21일 동북아역사재단 주최 국제 학술회의 ‘일본에서 본 한일관계’ 참가자들. 동북아역사재단 제공
갑오개혁(1894∼1896년) 당시 온건 개화파는 점진적 경찰 개혁을 추진했다. 하지만 일본의 개입으로 일본식 엄벌주의가 도입됐고, 이것이 민중의 반발을 불러오면서 항일 의병운동으로까지 이어졌다는 분석이 나왔다.

이토 슌스케(伊藤俊介) 일본 후쿠시마대 교수는 21일 서울 서대문구 동북아역사재단에서 열린 국제학술회의 ‘일본에서 본 한일관계’에서 ‘근대 이행기 조선의 국가권력 위상과 민중’을 발표하며 이같이 밝혔다.

이토 교수에 따르면 갑오개혁 초기 개화파는 유길준(1856∼1914)의 경찰권 제한 의견을 반영해 민중의 자율성을 존중하고 일상 생활에 대한 경찰의 간섭을 최소로 억제하려고 했다. 하지만 일본은 조선을 강권적(強權的)으로 통치하기 위해 이노우에 가오루(井上馨) 공사의 부임과 함께 경무청에 경찰권을 집중시키는 등 일본식 제도 도입을 추진했다.

이토 교수의 이번 발표는 당시 신문자료 등을 통해 그에 대한 민중의 반응을 조명했다. 갑오개혁은 경찰력을 동원해 민중의 전통적 가치관과 생활 관습을 바꾸도록 강요했다. 민중에게 퍼져 있던 관우 신앙을 탄압했고, 거리에서 긴 담뱃대 등의 사용을 금지했다. 일본인 거류지 확장을 위해 방해가 되는 가택을 강제로 철거하기도 했는데, 이를 일선에서 경찰이 담당했다.

이에 따라 조선 민중은 경찰을 ‘대일 협력자’ ‘생활 파괴자’로 인식하고 반발했다. 민속놀이의 일종인 ‘석전(石戰)’을 중지하란 명령에 분노한 민중이 경찰관에게 돌을 던지거나, 경찰의 일본인 살해 사건 수사를 방해하는 일도 일어났다.

이토 교수는 “1897년 대한제국이 ‘구본신참(舊本新參)’을 내걸고 개혁을 한 건, 이 같은 일본형 근대에 대한 반발을 바탕으로 전통적인 ‘문치’와 ‘민본’에 기초한 독자적인 근대국가를 건설하려는 시도였다”고 설명했다.

이날 학술회의에선 이토 교수를 비롯해 나리타 지히로(成田千尋) 리쓰메이칸대 교수와 다카하시 유코(高橋優子) 오사카공립대 인권문제연구센터 연구원, 이쿠라 에리이(飯倉江里衣) 가나자와대 교수, 오가타 요시히로(緒方義広) 후쿠오카대 교수 등 한국 관련 연구를 하는 일본 차세대 학자 5명의 발표가 이어졌다. 박지향 동북아재단 이사장은 “한일 양국의 차세대 연구자들이 학술교류를 통해 문제의식과 연구방법론을 공유하고 새로운 통찰을 얻길 바란다”고 했다.

조종엽 기자 jjj@donga.com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지금 뜨는 뉴스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