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회화 거장의 '영원한 집'…맨해튼에서 다시 숨 쉬다

4 hours ago 2

한국 모더니즘 회화의 거장 장욱진(1917∼1990)의 예술세계를 조명하는 특별 회고전 ‘장욱진: 영원한 집’이 오는 7월 19일까지 미국 뉴욕 맨해튼 뉴욕한국문화원에서 열린다.

韓 회화 거장의 '영원한 집'…맨해튼에서 다시 숨 쉬다

장욱진은 김환기, 박수근, 이중섭, 유영국과 함께 한국 근현대 미술을 대표하는 ‘2세대 서양화가’이자 한국 모더니즘의 기틀을 다진 ‘1세대 모더니스트’로 꼽히는 작가다.

이번 전시는 장욱진의 삶과 철학을 집중 조명하는 해외 첫 회고전이다. 양주시립장욱진미술관과의 공동 기획으로 ‘가족도’(1972) ‘나무와 정자’(1977·사진) ‘감나무’(1987) 등 장욱진의 예술세계를 대표하는 주요 작품 40여 점이 2층 전시 공간에 걸렸다. 1층 미디어아트 전시 공간에는 장욱진 그림 속 주요 모티프가 화려한 영상으로 2개의 벽면을 가득 메웠다. 작가의 장녀인 장경수 양주시립장욱진미술관 명예관장은 “인류 보편의 아름다움과 생명의 본질에 대한 탐구는 아버지 작업의 핵심이었다”며 “이번 전시를 통해 바쁜 일상 속 뉴요커들이 잠시 멈춰 서서 진정한 평온과 사유의 시간을 가지길 바란다”고 전했다.

장욱진의 작품세계를 국제 미술계에 알리는 데 결정적 역할을 한 화집 <황금방주>의 실물도 함께 전시했다. 이 화집은 1992년 뉴욕의 권위 있는 예술 출판사 리미티드에디션즈클럽(LEC)이 한국을 대표하는 작가로 장욱진을 선정해 제작한 것이다. 작가가 생전에 직접 고른 12점의 유화를 정교한 수작업 판화로 만들어 완성했다. <황금방주>는 LEC가 노벨문학상 수상작인 가와바타 야스나리의 <설국> 이후 처음으로 동양 작가의 작품을 출간한 사례로, 한국 추상미술의 국제적 위상을 보여주는 중요한 기록으로 평가받는다.

황금방주라는 제목에는 장욱진의 예술적 가치를 ‘황금’에 비유하고, 그 가치가 시대를 넘어 예술의 본질을 품은 ‘방주’가 됐다는 의미가 담겼다. 조희성 뉴욕한국문화원 큐레이터는 “장욱진은 K컬처의 뿌리에 자리한 한국적 사유와 정서의 깊이를 가장 섬세하게 구현한 예술가”라며 “그의 작품세계를 깊이 경험할 수 있는 소중한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뉴욕=박신영 특파원 nyusos@hankyung.com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