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파격외교…시리아 대통령과 전격회동

3 hours ago 2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중동 순방을 시작하며 지역 정세의 리셋을 추진하고 있으며, 이란에 대한 핵 개발 중단 요구와 시리아 과도정부와의 관계 개선을 모색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시리아의 알샤라 임시대통령과 만남을 통해 미국의 제재 해제를 통한 관계 정상화를 강조하고, 경제 재건 지원을 요청하는 상황이다.

또한, 그는 사우디아라비아와의 6000억 달러 규모의 투자 협정을 체결하며 경제적 실리도 챙기고 있다.

회원용

핵심 요약쏙은 회원용 콘텐츠입니다.

매일경제 최신 뉴스를 요약해서 빠르게 읽을 수 있습니다.

첫 순방서 중동 리셋 속도전
사우디서 예정에 없던 만남
제재 해제·외교 정상화 첫발
2012년 단교후 관계복원 촉각
중동 평화 조성하고 실리 챙겨
시리아서 광물협정 제안받고
사우디선 6천억弗 투자 유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가운데)이 14일(현지시간) 사우디 수도 리야드에서 무함마드 빈살만 사우디 왕세자(오른쪽)가 지켜보고 있는 가운데 아메드 알샤라 시리아 임시대통령과 악수하고 있다.  AFP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가운데)이 14일(현지시간) 사우디 수도 리야드에서 무함마드 빈살만 사우디 왕세자(오른쪽)가 지켜보고 있는 가운데 아메드 알샤라 시리아 임시대통령과 악수하고 있다. AFP연합뉴스

중국과의 무역 합의를 끝내고 4일간의 중동 순방에 나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동의 '평화 해결사' 역할을 자임하며 지역 정세 '리셋'에 속도를 내고 있다.

시리아에 대해서는 독재정권 붕괴 후 새로운 과도정부와 관계 개선에 나섰고, 이란에 대해서는 핵 개발 중단과 관련한 '최후통첩'을 던지며 중동 지역 '새판 짜기'를 본격화했다. 그런가 하면 사우디아라비아로부터 4년간 6000억달러(약 850조원)의 투자 유치를 약속받는 경제 동반자 협정을 맺는 등 실리도 챙기며 특유의 '거래의 기술'을 발휘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14일(현지시간) 사우디 수도 리야드에서 걸프협력회의(GCC) 지도자들과의 회의를 앞두고 아메드 알샤라 시리아 임시대통령을 만났다. 양국 정상 간 만남은 25년 만에 처음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무함마드 빈살만 사우디 왕세자가 지켜보는 가운데 알샤라 임시대통령과 반갑게 악수하며 회담을 시작했다. 회담에는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튀르키예 대통령이 온라인으로 참석했다.

백악관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알샤라 임시대통령에게 이슬람국가(IS) 재건 방지를 위해 미국과 협력할 것을 촉구했다. 알샤라 임시대통령은 "이란이 시리아에서 철수한 지금이 기회"라며 "시리아는 '테러리즘'과 싸우고 화학무기를 제거하는 데 미국과 이해관계를 공유하고 있다는 점을 트럼프 대통령과 동의했다"고 말했다.

사진설명

시리아 내전 당시인 2012년 시리아와 단교한 미국은 이번 회동을 계기로 관계 정상화에 나설 전망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시리아 새 정부와 관계 정상화를 모색하고 있다"며 "제재 해제는 시리아의 새로운 시작을 위한 것"이라고 말했다. 시리아 과도정부는 미국의 제재 해제에 더해 경제 재건을 위한 지원을 해줄 것을 희망하고 있다. 이와 관련해 영국 매체 더타임스는 알샤라 임시대통령이 자국 천연자원 개발과 관련한 '광물협정'을 트럼프 대통령에게 제안했다고 전했다. 시리아는 지난해 말 바샤르 알아사드 독재정권이 붕괴하고 알샤라 과도정부가 들어선 상태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알샤라 임시대통령과의 회동에서 "이란과 합의하기를 원하지만, 그러려면 이란이 테러 지원을 멈춰야 하고 핵무기를 보유해서도 안 된다"고 강조했다. 또 "우리는 앞으로 '아브라함 협정'에 더 많은 국가를 계속 추가할 것"이라고 말했다. 아브라함 협정이란 이스라엘과 주변 중동 국가들의 관계 정상화를 일컫는 표현이다. 트럼프 대통령이 한 일련의 발언은 중동에 대한 미국 영향력 강화와 함께 미국과 핵협상 중인 이란을 압박하려는 의도로 해석된다.

그런가 하면 트럼프 대통령은 특유의 '거래의 기술'을 활용해 경제적 실리도 챙겼다.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빈살만 왕세자와 회담한 후 미국·사우디 간 6000억달러 규모의 투자(사우디의 대미 투자)·수출(미국의 대사우디 수출)·안보 협력 강화 등 내용을 담은 '전략적 경제 동반자 협정'을 체결했다.

[워싱턴 최승진 특파원]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좋아요 0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