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등 주도주 이익 개선, 3차 상법개정안 긍정적 영향 미칠 듯
파월 “이번 금리인하는 위험 관리 성격”
이번 9월 FOMC 정례회의 관전 포인트는 25bp 인하 여부가 아니라, 점도표 및 경제 전망 변화, 그리고 파월 의장의 기자회견 내용이었다. 물론 일각에서는 9월 50bp 빅컷을 기대했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소수의 바람이었을 뿐이다. 이보다 중요한 점도표와 경제 전망에서는 변화 움직임이 나타났다.
먼저 점도표에서는 올해 말 기준금리 중간값을 기존 3.875%에서 3.625%로 하향하며 연내 추가 50bp 인하를 시사했다. 2026년 중간값도 기존 3.625%에서 3.375%로 하향함으로써 내년에도 최소 1회 인하할 계획이라는 신호를 시장에 전달한 것으로 보인다.
경제 전망 측면에서는 올해 성장률(6월 1.4% 제시→9월 1.6%)을 상향하고, 실업률(4.5%)과 개인소비지출(PCE) 물가(3.0%)는 유지했다. 동시에 내년 성장률(1.6→1.8%)을 상향하고 실업률(4.5→4.4%)을 하향한 점은 이번 금리인하가 경기 하방 리스크를 방지하는 보험성 성격임을 유추케 하는 대목이다. 내년 PCE 물가(2.4→2.6%)를 상향한 것은 내년에도 인플레이션 상방 압력이 높아질 것이라는 우려를 자아낼 수 있기는 하다. 파월 의장이 기자회견에서 “관세의 물가 영향은 아직 확인할 것들이 남아 있다”는 식으로 언급한 부분과도 일맥상통한다.그럼에도 파월 의장이 “관세에 따른 인플레이션 영향이 단기에 그칠 것이라는 전망이 베이스 시나리오”라고 언급했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또 연준의 양대 책무(완전 고용, 물가 안정) 가운데 무게중심이 고용으로 이동했으며, 현재 고용시장 하방 위험이 높아진 상태라고 진단했다는 점도 마찬가지다. 향후 9월 혹은 10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예상을 넘어서는 큰 쇼크를 일으키지 않는 한 인플레이션 리스크가 연준의 금리 경로나 증시 방향성에 부정적 충격을 가할 확률은 낮게 보는 것이 적절하다.
물론 향후 며칠 동안 9월 FOMC 정례회의 결과를 재해석하는 과정이 수반될 수 있으며, 단기적인 주가 변동성이 출현할 여지도 있다. 다만 파월 의장이 “이번 금리인하는 위험 관리 성격”이라고 언급한 점으로 미뤄볼 때 이번 금리인하는 증시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보험성 금리인하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실제로 1995년(7월 시작, 총 75bp 인하, 연말까지 나스닥 +12%), 1998년(9월 시작, 총 50bp 인하, 연말까지 나스닥 +46%), 2019년(7월 시작, 총 75bp 인하, 연말까지 나스닥 +12%), 2024년(9월 시작, 총 75bp 인하, 연말까지 +7.0%) 금리인하기에는 주식시장이 상승했다. 물론 전 세계 경제 호황(1995), 닷컴버블 태동(1998), 미·중 무역 분쟁 해빙(2019), M7(엔비디아·애플·마이크로소프트·메타플랫폼스·아마존닷컴·알파벳·테슬라) 성장 독주(2024) 등 각 사례마다 고유 요인이 개입된 측면이 있긴 하지만, 연준의 금리인하가 경기침체 방지 차원의 보험성 금리인하로 인식되는 공통분모가 있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따라서 주식시장 방향성은 연말까지도 위로 잡고 갈 필요가 있다. 일각에서는 한국 증시가 지난해 9~12월 연준 금리인하기 때와 마찬가지로 금리인하 수혜를 누리지 못할 것이라는 생각도 가질 법하다. 지난해 9월 말 연준의 금리인하 후 그해 연말까지 미국 나스닥은 7% 상승한 반면, 한국 코스피는 7% 하락한 경험이 있기 때문이다(그래프1 참조). 지난해에는 ‘코스피 이익 컨센서스 지속 하향+외국인 순매도+상법개정안 미통과’ 조합이 한국 증시의 부진을 만들었다.
반면 올해는 ‘코스피 이익 컨센서스 바닥 확인 후 반등 시도+외국인 순매수+상법개정안 통과’ 조합으로 바뀌었기에 ‘미국 증시와 탈동조화’ 혹은 ‘코스피 소외 현상’이 나타나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그래프2 참조). 단기적으로는 9월 폭등 이후 레벨 부담 소화, 9월 FOMC 단기 여진, 엔비디아발(發) 노이즈(중국 정부의 엔비디아 칩 구매 중단 등) 등이 일시적 변동성을 유발할 수 있다. 하지만 △연준의 보험성 금리인하 △반도체, 조선, 방산 등 주도주 이익 모멘텀 개선 △정부 정책 모멘텀(3차 상법개정안 및 배당소득 분리과세 절충안 기대감 등)을 고려할 때 “국내 증시 상승 추세는 여전히 유효하다”는 전제로 대응 전략을 수립해나갈 필요가 있다.
한지영 키움증권 투자전략팀 연구원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개
- 슬퍼요 0개
- 화나요 0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