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박정수 기자] ‘코스피 5000시대’를 목표로 내건 이재명 정부의 증시 정책에 힘입어 코스피가 하반기 3700선까지 다다를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특히 상법 개정을 위시한 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로 기업가치 재평가가 예상돼 증시 강세가 내년 상반기까지 이어질 수 있다고 내다봤다.
![]() |
[이데일리 김정훈 기자] |
8일 이데일리가 10대 증권사 리서치센터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 하반기 코스피 고점 평균은 3430포인트로 집계됐다. 하나증권이 3710선으로 가장 높게 전망했고, NH투자증권이 3600선까지 오를 수 있다고 예상했다. 신한투자증권은 3500선, 삼성증권·KB증권·대신증권·메리츠증권 등이 코스피 고점을 3400선 수준으로 내다봤다.
리서치센터 대부분 이재명 정부의 주식 정책을 호재로 꼽았다. 이재명 대통령은 후보시절부터 “코스피 5000시대를 열겠다”고 강조했고 취임 후에도 오천피를 재차 강조했다. 특히 부동산 자금 쏠림 현상 해소를 위해 ‘대체 투자 수단’으로 주식을 활성화하겠다는 정책 기조도 유지하고 있다.
황승택 하나증권 리서치센터장은 “이재명 정부의 주식 정책으로 인해 부동산으로 편중된 한국 가계의 자산 정상화가 기대된다”며 “또 상법 개정이 주주 권리 강화와 배당 확대로 이어질 것으로 예상해 주식시장에서 호재로 작용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코스피가 내년 상반기까지도 점진적 상승을 이어갈 것이란 전망도 한다. 조수홍 NH투자증권 리서치센터장은 “향후 정부 정책이 예정대로 시행될 경우 올해 하반기 고점은 3600선”이라며 “수출 증가율이 올해 하반기를 저점으로 점차 회복될 것으로 보여 내년 상반기까지 추가 상승도 가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다만 조 센터장은 “일본의 앞선 밸류업 사례(2023년)를 고려하면 코스피가 3000선 이상에서 안착한 후 상승세가 지속되려면 수출 증대를 비롯해 관세 완화, 기업이익 증대, 첨단 산업 기술력 확대 등의 요인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한편 미국이 8월부터 한국에 25%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통보한 상황인 데다 올 상반기 코스피 상승에 따른 차익실현 가능성도 리스크로 꼽히는 상황이다.
하지만 김동원 KB증권 리서치본부장은 “과거와 달리 관세 리스크가 달러 약세를 유발하고 있기 때문에 한국증시는 이번에도 상대적으로 견조할 가능성이 있다”며 “정부가 추진하는 내수 부양책과 더불어 금융시장의 체질 개선, 부동산 자금의 증시 유입 등 자본시장 개혁 의지도 방어력을 높이는 요인”이라고 판단했다.
이어 김 본부장은 “올해 말과 내년 초에는 관세 전쟁이 마무리 국면으로 접어들 가능성이 있다”며 “내년 11월 중간선거를 앞두고 관세 이슈를 더 끌고 가기엔 정치적 부담이 크기 때문”이라고 짚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