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과 군사적 연계"…美, 알리바바 주시

4 days ago 3

입력2025.11.16 18:37 수정2025.11.16 18:37 지면A12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중국 빅테크 알리바바와 중국군이 연계돼 있다고 우려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백악관의 국가안보 메모를 입수했다며 지난 14일 이같이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1급 기밀’이 포함된 이 메모에는 알리바바가 미국 내 전략 표적에 대한 중국 인민해방군의 작전에 기술적으로 도움을 주고 있다는 내용이 포함됐다. 미국의 어떤 지점을 타격 목표로 삼고 있는지는 적혀 있지 않았다. 알리바바는 자사 클라우드 사용자의 인터넷 주소(IP)를 비롯해 와이파이 정보, 결제 기록 등 민감한 고객 데이터를 중국 정부와 군에 제공했다.

알리바바는 인민해방군에 이른바 ‘제로데이 취약점’에 관한 정보도 넘긴 것으로 전해졌다. 이는 네트워크를 쓰는 단말장치에서 보안상 취약점이 발견됐지만, 아직 보안패치가 나오지 않아 사이버 공격에 대비할 수단이 없는 경우를 뜻한다. 알리바바가 해킹이 용이한 사이버 공간의 사각지대를 중국군에 제공했다는 것이다. FT는 “이런 내용의 백악관 메모가 미·중 정상회담 직후인 지난 1일 작성됐다”고 전했다.

미국 중앙정보국(CIA)에서 중국 분석 책임자를 지낸 데니스 와일더는 FT에 “중국군이 태평양에 주둔한 미군의 주요 교통 거점은 물론 미국 본토 공항, 항만에 침투를 지속하고 있다”며 “군사 충돌 시 실행할 ‘체계 파괴 전쟁’ 전략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는 것이 목표”라고 했다. 알리바바는 이 같은 보도에 “터무니없는 소리”라며 “명백히 여론을 조작하고 알리바바를 헐뜯으려는 시도”라고 반발했다. 다만 자사와 인민해방군의 관계에 관해선 입장을 밝히지 않았다.

미국 내에서는 중국 클라우드와 인공지능(AI) 기술, 중국 정부의 개인 정보 접근성에 대한 경계심이 높아지고 있다. 존 몰레나르 하원 중국공산당특위 위원장 등 일부 의원은 중국 인민해방군과의 연계 의혹을 이유로 미국 증권거래위원회에 알리바바 등 중국 기업 25곳의 상장 폐지를 촉구하고 있다.

김동현 기자 3code@hankyung.com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