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美 하얼빈AG 사이버공격 감행”…요원 3명 지명수배

3 weeks ago 8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중국이 사이버 공격과 관련하여 미국 국가안보국(NNSA) 요원 3명을 지명 수배했다고 보도하였다.

하얼빈 공안국은 NSA가 하얼빈 동계아시안게임의 시스템을 공격하고, 주요 국방 및 인프라에 대한 동시다발적 공격을 감행했다고 주장했다.

이와 관련하여 공안국은 NSA의 공격이 중국 사회에 혼란을 주고 기밀 정보를 훔치려는 목적이 있었다고 강조하며, 범인 검거에 대한 보상도 제공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회원용

핵심 요약쏙은 회원용 콘텐츠입니다.

매일경제 최신 뉴스를 요약해서 빠르게 읽을 수 있습니다.

“대회 운영 마비 노렸다”
UC버클리·버지니아텍 연루

후드를 쓴 남성이 노트북을 들고 있는 모습을 형상화한 이미지. <로이터 연합뉴스>

후드를 쓴 남성이 노트북을 들고 있는 모습을 형상화한 이미지. <로이터 연합뉴스>

중국이 사이버 공격을 이유로 미국 국가안보국(NSA) 요원 3명을 지명 수배했다. 지난 2월 열린 하얼빈 동계아시안게임을 표적으로 했다는 설명이다.

15일 중국 신화통신은 헤이룽장성 하얼빈 공안국이 미국 NSA 소속 캐서린 윌슨, 로버트 스넬링, 스티븐 존슨 등 요원 3명의 공개 수배를 내렸다고 보도했다.

하얼빈 공안국에 따르면 NSA는 공격을 은폐하기 위해 유럽·아시아 지역의 서버를 익명으로 임대하고, 전 세계 여러 곳의 인터넷 접속 주소(IP 주소)를 구매해 활용했다. 선수 등록·경기 참가 시스템 등 대회 운영에 필요한 핵심 시스템을 주요 공격 대상으로 삼았다. 아울러 헤이룽장성 내 국방 연구 기관·에너지·수자원 등 주요 인프라에 대한 동시다발적인 공격도 이뤄졌다.

공안국은 NSA가 공격에 백도어 방식을 이용했다고 밝혔다. NSA가 헤이룽장성 내 특정 컴퓨터 장비에 알 수 없는 암호화된 데이터를 전송했는데, 이것이 사전에 심어진 해킹 프로그램을 작동시키려는 시도라는 설명이다.

또한 공안국은 이번 하얼빈 아시안게임을 겨냥한 사이버 작전에 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대(UC 버클리)와 버지니아공대가 연루된 정황도 포착했다고 알렸다. 그러면서 범인 검거에 기여하면 포상금을 지급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신화통신에 따르면 공안국은 “(NSA는) 중국에 사회적 혼란을 일으키고 중요한 기밀 정보를 훔치려는 의도가 있었다”고 강조했다.

지난달 미국은 중국 공안부 소속 인물 2명을 포함해 중국인으로 추정되는 10명을 사이버 정보 탈취 혐의로 지명수배한 바 있다. 관련 제보자에게는 최대 1000만달러(약 140억원)의 현상금을 내걸었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좋아요 0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