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日 독도 영유권 주장에 "악성 언행…참략 역사 반성하라"

3 days ago 2

독도 상공을 비행하는 F-15K 전투기. 사진=대한민국 공군

독도 상공을 비행하는 F-15K 전투기. 사진=대한민국 공군

다카이치 사나에 일본 총리의 '유사시 대만 개입' 발언 이후 연일 일본을 비난하고 있는 중국 정부가 이례적으로 일본의 '독도 주권' 주장을 비판해 눈길을 끈다.

마오닝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17일 정례 브리핑에서 "일본 정부가 독도 주권에 대한 부당한 주장을 선전하는 영토주권전시관 공간을 확장해 한국 외교부가 강하게 항의했는데, 중국은 이에 대해 어떻게 논평하는가"라는 중국 관영매체 질문에 "우리는 그 문제에 대한 보도에 주목했다. 최근 일본의 많은 악성 언행은 주변 국가의 경계와 불만, 항의를 유발하고 있다"고 답했다.

마오 대변인은 "우리는 일본이 침략 역사를 심각하게 반성하고, 평화의 길을 걷기를 고수하며, 실제 행동으로 아시아 이웃 국가와 국제 사회의 신뢰를 얻기를 촉구한다"고 덧붙였다.

중국은 그간 독도 문제에 대해선 말을 아껴왔다. 이날 답변은 독도를 직접 거론하지 않으면서도 일본의 '악성 언행'이라고 비판하면서 우회적으로 한국 정부를 지지한 것으로 풀이된다.

중일 관계가 급속히 냉각되고 일본 여행 자제령을 내리거나 경제 제재 가능성을 거론하는 등 '한일령'(限日令) 분위기가 고조되자, 또 다른 이웃 국가인 한국과의 관계를 다지기 위한 포석이라는 해석도 나온다.

중국 외교부가 독도 문제를 두고 답변했던 사례는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집권했던 2014년 2월이 대표적이다. 당시 한국 정부가 일본 시마네현에서 열린 '다케시마(독도의 일본식 명칭)의 날' 행사를 비판하자 중국 외교부는 "중국은 한국과 일본이 대화를 통해 그 문제를 해결하기를 바란다"면서도 "일본과 이웃 국가 사이에 벌어지는 영토 분쟁 문제는 모두 일본의 대외침략전쟁 및 식민 통치 역사와 밀접한 연관이 있다"고 지적했다.

마오 대변인은 이어진 홍콩 매체 질의에서 지난 9일과 10일 중국 어선이 한국 인근 해역에서 잇따라 전복됐을 당시를 언급하며 "한국이 신속히 경비함과 헬기를 보내 수색·구조 작업을 폈다. 중국은 이를 높이 평가하고 진심으로 감사한다"고 언급하기도 했다.

반면 일본과 관련된 질문에는 강경한 답변이 이어졌다. 그는 "일본의 어떤 당파, 어떤 사람이 집권하든 일본 정부는 대만 문제에서의 약속을 견지·준수해야 한다"며 "우리는 일본이 역사와 양자 관계에 대한 책임 지는 태도로 선 넘기와 불장난을 중지하고 잘못된 언행을 철회하며 대(對)중국 약속을 실제 행동으로 보여주기를 촉구한다"고 말했다.

최근 중국의 요구로 중일 양국의 공동 여론조사 결과 발표가 미뤄지고 도쿄-베이징포럼이 연기된 것에 대해서는 "그 책임은 완전히 일본 지도자의 잘못된 발언에 있다"고 강조했다.

오세성 한경닷컴 기자 sesung@hankyung.com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