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biquiti는 자체 하드웨어에서 전체 UniFi 네트워크 스택을 구동할 수 있는 UniFi OS Server를 Early Access로 공개함
- 이 서버에서는 UniFi Network, InnerSpace, 그리고 기존에 불가능했던 UniFi Identity도 실행 가능함
- 설치 시 Ubiquiti 계정 연동을 통해 원격 관리, MFA, 알림, 클라우드 백업, Teleport, Site Magic VPN 등의 기능을 사용할 수 있음
-
Windows(WSL2) 및 Linux(Podman) 환경에서 최소 20GB 저장공간이 필요하며 주요 네트워크 포트를 사용함
- 현재 버전에서는 추가적으로 InnerSpace 설치가 가능하고, 향후 UniFi Protect의 지원도 기대됨
Ubiquiti UniFi OS Server 개요
-
Ubiquiti는 UniFi OS Server를 Early Access로 출시하여, 사용자가 직접 하드웨어에 완전한 UniFi 네트워크 스택을 자체 호스팅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함
- 초기 지원 제품은 UniFi Network와 InnerSpace이며, UniFi Identity 역시 UniFi OS Server에서 실행 가능함
- 기존의 self-hosted UniFi Network Server에서는 UniFi Identity 실행이 불가능했으나, 이번 버전에서는 지원됨
요구 사항
-
스토리지: 최소 20GB의 여유 디스크 공간 필요
-
Windows: WSL(Windows Subsystem for Linux) 버전 2 필요
-
Linux: Podman 4.3.1 이상 필요
-
필요 포트: 3478, 5005, 5514, 6789, 8080, 8444, 8880, 8881, 8882, 9543, 10003, 11443 등 사용
UniFi OS Server 설치 및 구성
- 서버 부팅 후, 서버 이름을 입력하고 Ubiquiti 계정으로 로그인하는 과정 필요
- Ubiquiti 계정으로 로그인하면 unifi.ui.com을 통한 서버 관리, 원격 접근, MFA, 알림, 클라우드 백업, Teleport, Site Magic VPN 사용 가능
- 계정 없이 사용할 경우, 원격 관리와 보안 및 클라우드 기반 기능 사용 불가
- 기존에 self-hosted UniFi Network가 있다면 네트워크 가져오기 또는 UniFi Console 백업 복구 가능
- UniFi Network 프로그램이 기본 설치되어 있어, 네트워크만 설정하면 바로 사용 가능
InnerSpace와 추가 기능
-
InnerSpace 지원: 설정 > Control Plane에서 InnerSpace 설치 가능
- 현재 버전은 UniFi Network와 InnerSpace를 지원하며, 향후 UniFi Protect 지원도 기대됨
서버 시작 및 중지
- UniFi OS Server UI를 닫아도 서버는 백그라운드에서 계속 동작함
- 서버 완전 종료를 원하면 시스템 트레이에서 UniFi 아이콘 우클릭 후 종료
- 시작할 때는 시작 메뉴에서 앱 실행, 첫 부팅 시 ‘UniFi Network offline’ 메시지가 잠깐 나타나지만 곧 운영됨
- 서버 실행 중에는 https://localhost:11443 통해 브라우저에서 바로 접근 가능
Debian 환경 설치 방법
- Linux 설치 시, 필요한 의존성 설치 후 설치 파일을 받아 실행하는 순서로 진행
- root로 진입 후, 시스템 업데이트 및 Podman 등 필수 패키지 설치, 공식 설치 파일 다운로드 및 실행 필요
리눅스 환경에서의 SSL 인증서
마무리
- UniFi OS Server를 자체 호스팅 환경에서 실행할 수 있게 된 점이 큰 장점임
- 사용자들은 향후 UniFi Protect 기능 추가를 기대하는 상황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