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D 현장 라이브] 공청회에서 나온 외국인 선수 쿼터 확대와 K리그1 팀 수 증가 논의? 제도 변화에 대한 의견은 모아졌지만 효과는 ‘글쎄’

3 hours ago 2

한국프로축구연맹은 23일 서울 성동구 한양대 경영관에서 ‘2025 K리그 주요 현안 공청회’를 열었다. 패널로 참석한 구창용 제주 SK 대표이사, 최순호 수원FC 단장, 유성한 FC서울 단장, 위원석 대한축구협회 소통위원장, 홍재민 기자, 김재성 K리그 TSG 위원, 김보경 FC안양 선수는 K리그의 최근 화두인 외국인 선수 쿼터 확대와 K리그1 팀 수 증가에 대해 트렌드를 따라가자고 의견을 모았다. 그러나 제도 변화의 효과가 적을 것이라는 의문도 제기했다. 사진제공│한국프로축구연맹

한국프로축구연맹은 23일 서울 성동구 한양대 경영관에서 ‘2025 K리그 주요 현안 공청회’를 열었다. 패널로 참석한 구창용 제주 SK 대표이사, 최순호 수원FC 단장, 유성한 FC서울 단장, 위원석 대한축구협회 소통위원장, 홍재민 기자, 김재성 K리그 TSG 위원, 김보경 FC안양 선수는 K리그의 최근 화두인 외국인 선수 쿼터 확대와 K리그1 팀 수 증가에 대해 트렌드를 따라가자고 의견을 모았다. 그러나 제도 변화의 효과가 적을 것이라는 의문도 제기했다. 사진제공│한국프로축구연맹

K리그의 최근 화두는 외국인 선수 쿼터 확대와 K리그1 팀 수 증가다. K리그의 현안을 다룬 공청회에서도 국제 트렌드를 따르기 위해 제도를 바꾸자는 의견이 주를 이뤘다. 다만 제도 변화의 효과가 적을 것이라는 지적도 적지 않았다.

한국프로축구연맹은 23일 성동구 한양대 경영관에서 ‘2025 K리그 주요 현안 공청회’를 열었다. 패널로 참석한 구창용 제주 SK 대표이사, 최순호 수원FC 단장, 유성한 FC서울 단장, 김재성 K리그 TSG 위원, 김보경 FC안양 선수 등은 두 가지 현안을 놓고 활발한 이야기를 나눴다.

K리그 외국인 선수 제도는 국제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 아시아축구연맹(AFC) 챔피언스리그(ACL) 규정을 주로 따랐는데 현재 K리그1은 ‘6명 보유·4명 출전’, K리그2 ‘5명 보유·4명 출전’이다.

그런데 외국인 선수 쿼터를 보다 확대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계속됐다. 2024~2025시즌부터 ACL에서 외국인 선수 출전 제한을 폐지하고 주요 회원국들이 이를 따르기 때문이다. 실제로 외국인 선수 쿼터를 확대한 사우디아라비아, 일본, 말레이시아의 AFC 클럽 랭킹은 꾸준히 상승세를 탔다.

K리그1 팀 증가도 축구계의 큰 화두다. 12개 구단이 참여한 K리그1는 2022년부터 ‘1+2(다이렉트 강등 1팀·승강 플레이오프 2팀)’ 형태로 승강제를 시행 중이다. 타 리그와 비교하면 전체 팀들에 비해 강등팀 숫자가 너무 많다는 지적이 잦았다. 강등 위험이 줄어야 각 팀들이 중장기 계획을 세우기 용이할 것이라는 이야기가 많았다.

패널들은 우선 두 가지 현안이 ‘필연적 시대의 흐름’이라는 데에 의견을 모았다. 김보경은 “좋은 외국인 선수들이 늘면 국내 선수들에게 노하우를 전수하는 등 긍정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밝혔다. 김 위원은 “강등 위험이 줄면 많은 팀들이 ‘선-수비, 후-역습’의 단조로운 패턴을 벗어날 수 있을 것이다. 국제경쟁력 강화와 저변 확대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그러면서도 패널들은 제도 변화의 실효성에 대해서는 의문을 품었다. 결국 외국인 선수 쿼터 확대가 일부 팀에게만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K리그1 팀 증가도 리그의 질적 향상과는 무관할 것이라는 예상도 많았다.

구 대표는 “지금도 외국인 선수 쿼터를 채운 구단은 1·2부 전체 26개 중 9팀이다. 쿼터가 확대돼도 팀 사정에 맞춰 운영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최 단장 역시 “팀 수 확대가팬들의 유입, 구단 수입 증가로 이어지지 않을 것으로 본다. 근거가 충분하지 않다”고 선을 그었다.

권재민 기자 jmart220@donga.com

Copyright © 스포츠동아.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