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ci-Net은 사용자가 논문을 요청하고 업로드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새로운 플랫폼임
- 기존의 자동화된 Sci-Hub 방식과 달리, 사용자 참여와 분산형 토큰 보상을 통해 논문 공유를 촉진함
- 플랫폼 내에서 요청된 논문이 업로드되면 모든 사용자가 무료로 접근 가능함
- Sci-Hub 토큰을 활용한 보상 시스템은 실제 지불이 업로더에게 직접 이루어짐
- Sci-Net의 참여는 전체 퍼블릭 도메인 학술 자료 확장에 기여함
Sci-Net 플랫폼 소개
Sci-Hub와 사용자 요청의 한계
- 대부분의 Sci-Hub 사용자는 특정 논문에 접근 불가 시 다운로드를 요청하는 경험 있음
- 최근 2년간 Sci-Hub 데이터베이스 업데이트 중단 이후 이런 요청이 급증함
- 일부 사용자는 자신이 구입하거나, 대학 구독을 통해 내려받은 논문을 Sci-Hub에 업로드하고 싶다는 문의도 종종 들어옴
- Sci-Hub는 사용자 업로드를 지원하지 않으며, 설계 초창기부터 인간 개입 없는 자동 논문 크롤링 시스템으로 구현됨
- 이 방식으로 전체 학술 논문의 90% 이상을 확보한 적도 있지만, 여전히 접근 불가능한 논문이 존재함
Sci-Net의 등장
- 이제는 사용자가 직접 논문을 요청하고, 업로드도 할 수 있는 플랫폼인 Sci-Net이 출시됨
- 간단한 UI를 가지고 있어, 사용자는 DOI 입력창에 요청하고자 하는 논문 정보를 입력하면 됨
- 요청 버튼 클릭 시, Sci-Net이 해당 논문의 오픈 액세스 여부 또는 Sci-Hub 내 존재 여부를 자동으로 확인함
- 논문 존재 시 바로 링크 제공, 없으면 새 요청 생성으로 이어짐
요청 및 업로드 프로세스
- 메인 페이지에는 요청 목록이 과목별, 출판사별 필터링 기능과 함께 제공됨
- 접근 가능한 논문 발견 시 해당 요청을 클릭하고 PDF를 업로드할 수 있음
- 플랫폼은 PDF 내 워터마크 제거 기능을 통해 논문을 배포한 대학 정보 등 업로더 익명성을 보호함
라이브러리 및 업로드 기능
- 'Library' 섹션에서는 본인의 모든 요청 및 업로드 목록 확인 가능
- 'Upload' 섹션에서는 PDF 파일 드래그 앤 드롭만으로 논문 기여 가능
- DOI가 시스템에 등록되어 있지 않으면 파일이 업로드되고, 이후 모든 사용자가 sci-net.xyz/DOI URL을 통해 접근 가능
- 플랫폼 등록 없이도 논문 열람이 가능하여 지식 공유의 개방성이 강화됨
분산형 토큰 시스템
- Sci-Net의 차별점은 탈중앙화 토큰(Sci-Hub meme coin) 을 이용한 지식 공유 보상 방식임
- 논문 요청 시 업로더에게 지급할 토큰 보상 금액을 설정할 수 있음
- 업로더가 PDF를 업로드해 요청자가 확인 후 'Accept' 버튼을 클릭하면 토큰이 실제 업로더에게 이체됨
- 회원 가입 시 최소 1000 Sci-Hub 토큰이 필요하며, 이는 가입 즉시 계정에 지급되고 업로더 보상에 사용됨
Sci-Net과 기존 출판사 모델의 차이
- Sci-Net의 참여 진입 비용은 상징적 의미에 그치며, 대부분의 국가에서 커피 한 잔 가격과 비슷한 수준임
- 전통적 출판사의 수익은 연구자와 상관없이 배분되지만, Sci-Net에서는 토큰이 실제 업로더에게 전달되어 동료 연구자에 직접 기여함
- 출판사는 논문에 매번 접속할 때마다 요금이 발생하지만, Sci-Net에서는 한 번만 업로드 비용이 발생하고 이후 모두 무제한으로 무료 제공됨
- Sci-Net을 통한 모든 거래가 공개 지식의 영역 확대에 직접적으로 기여함
Sci-Hub 토큰과 플랫폼의 미래
- 사용자가 많아질수록 Sci-Hub 토큰의 가치 상승이 기대됨
- Sci-Net 참여는 향후 Sci-Hub의 유지와 발전에도 간접 기여 효과를 가짐
- 단점으로 Solana 네트워크 기반 Sci-Hub 토큰 확보가 암호화폐 초보자에겐 다소 복잡한 편임
결론
- Sci-Net은 오늘날 연구자가 누구나 꼭 참여해야 할 지식공유 플랫폼임
- 참석자들이 함께 노력함으로써 오픈 지식 실현에 가까워지는 결과를 만들어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