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가 빈집 관리한다…울산 시범사업지로

2 days ago 4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전국적으로 빈집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인공지능(AI) 관리 시범 사업이 울산, 제주, 충북에서 실시된다.

각 지자체는 AI와 데이터 분석을 통해 빈집 관리, 공영주차장 안전, 지방 소멸 대응 등의 솔루션을 개발하고, 국비 최대 10억원을 지원받는다.

국토부는 도시 데이터 활용을 통해 효율적인 도시 운영을 목표로 하고 있다.

회원용

핵심 요약쏙은 회원용 콘텐츠입니다.

매일경제 최신 뉴스를 요약해서 빠르게 읽을 수 있습니다.

지방의 한 방치된 빈집촌 전경. 매경DB

지방의 한 방치된 빈집촌 전경. 매경DB

전국적으로 골치 아픈 빈집 문제를 인공지능(AI)이 관리하는 시범 사업이 실시된다.

10일 국토교통부는 올해 스마트도시 데이터허브 시범솔루션 발굴 사업에 관한 지방자치단체 공모 결과 울산과 제주, 충북이 최종 선정됐다고 밝혔다. 스마트도시 데이터허브는 교통이나 안전 등 다양한 도시 데이터를 한곳에 모아놓은 도시 정보 플랫폼이다. 데이터허브에 모인 데이터를 분석해 새로운 도시 서비스를 만들고 지자체가 도시를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돕는다.

국토부는 지난 2022년부터 스마트도시 데이터허브 보급사업을 통해 광역 지자체와 공동으로 스마트도시 데이터허브를 구축해 왔으며 올해부터 데이터허브가 구축된 지자체를 대상으로 AI 등 최신 기술을 반영하기 위해 처음 공모를 진행했다. 공모에 선정된 지자체에는 국비 최대 10억원(지방비와 1대1 매칭)을 지원을 지원한다.

우선 울산에선 빈집 증가에 따른 안전성 확보 요구 등 다양한 도시 문제 해결을 위해 광역 데이터허브와 연계한 에너지 데이터 기반의 ‘AI 예측형 빈집 관리 솔루션’이 마련된다. 가스, 전기, 수도 등 도시 생활 데이터를 분석해 지역별 거주 패턴을 파악하고 빈집 위험도를 예측하며 실태 조사에 필요한 최적 경로를 제시하게 된다.

제주는 관광 중심 도시의 고질적인 교통과 안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공영주차장 스마트 안전 AI 분석 솔루션’이 구축된다. 다양한 민원 데이터를 정형화하고 생성형 AI와 이상 행동 감지 기술을 활용해 공영주차장 안전 문제를 해소할 계획이다.

충북은 지방 소멸 고위험 지역의 정착 유도 정책을 마련하기 위해 제천시와 협력해 ‘생활인구 기반 지방소멸 대응 솔루션’을 구축한다. 이를 위해 지역 내 도시·농촌 데이터를 통합 수집한 뒤 청년 귀촌 정착 지원, 소상공인 창업지원 등 정주 대책 마련을 위한 분석 체계를 제시할 예정이다.

국토부는 “다방면으로 수집되고 있는 도시 데이터 활용이 더 활발해지고 인접 지자체 간 연계 활용도 가능한 공동 솔루션을 개발할 것”이라고 전했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좋아요 0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