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층 건강검진 국민인식 조사결과 발표
60세이상 “암·노인성 질환 집중검진 필요”
“고령 맞춤 건강검진 프로그램 마련해야”
한국의학바이오기자협회와 한국헬시에이징학회는 3일 서울 중구 롯데호텔 서울 에메랄드볼룸에서 ‘초고령사회 건강검진의 미래와 발전 방향’ 심포지엄을 개최하고 고령층 건강검진에 대한 국민 인식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설문조사는 한국의학바이오기자협회가 지난 2월 28일부터 3월 16일까지 20세 이상 성인 1229명을 대상으로 실시했다. 설문조사에 따르면 20세 이상 성인의 94.1%가 정기적으로 건강검진을 받고 있고 검진 주기는 ‘1년마다’, ‘2년마다’ 모두 48.1%로 동일하게 응답했다.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지원하는 건강검진 항목에 대해서는 ‘부족하다’고 답한 비율이 46.9%로 ‘충분하다’고 답한 41.8%보다 다소 높았다.
건강검진에서 가장 관심 있는 영역은 ‘암 검진(종양)’이 66.6%로 가장 높았고, 이어 ‘만성질환 관리(당뇨병, 고혈압 등)’(52.4%), ‘심혈관 질환’(47.6%), ‘간/신장 기능’(43.4%), ‘노인성 질환(치매, 파킨슨병 등)’(17.5%) 순으로 나타났다.한국의학바이오기자협회는 건강검진에 대한 고령층의 인식을 파악하기 위해 전체 응답자 중 60세 이상(85명)의 설문조사 결과를 별도로 분석했다.
분석 결과 60세 이상에서도 94%가 건강검진을 정기적으로 받고 있다고 답하며 건강검진에 대한 인식은 비슷한 것으로 확인됐다. 다만 건강검진 주기는 20세 이상과 달리 ‘2년마다’(61%)로 응답한 비율이 ‘1년마다’(34%)보다 훨씬 높았는데, 경제적 부담이나 잦은 검진으로 인한 피로감 등이 고령층 건강검진 주기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건강검진 항목에 대한 만족도에서도 ‘충분하다’(46%)고 답한 비율이 ’부족하다’(44%)는 비율보다 상대적으로 더 높게 나타나며 20세 이상과 차이를 보였다.고령층의 건강검진 관심 영역에서는 전체 성인 대상과 마찬가지로 ‘암 검진(종양)’이 69%로 가장 높았지만 ‘심혈관 질환’(58%), ‘만성질환 관리(당뇨병, 고혈압 등)’(52%), ‘노인성 질환(치매, 파킨슨병 등)’(46%) 등의 순으로, 특히 ‘노인성 질환’ 검진에 대해 관심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건강검진 연령을 75세 이상으로 연장하는 데에는 20세 이상 전체 성인 대상, 60세 이상 고령층 대상에서 각각 82.2%, 78%가 동의했다.
75세 이후 검진 계획의 경우 다른 양상을 보였다. 전체 성인 대상에서는 75세 이후에도 ‘검진 주기를 늘려서 검진한다’는 응답이 37.4%, 60세 이상에서는 ‘이전과 똑같이 정기검진을 진행한다’는 응답이 44%로 가장 많았다.
또 치매, 파킨슨병 등 노인성 질환 건강검진 프로그램이 생긴다면 받을 의향이 있는지에 대한 질문에서는 20세 이상 전체 성인 81.6%, 60세 이상 88%가 “예”라고 답했다. 연령이 증가할수록 치매나 파킨슨병 등의 발병 위험이 높아지기 때문에 고령층에서 노인성 질환에 대한 검진의 필요성을 더 크게 인식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날 1부 주제 발표에선 박상민 서울대병원 가정의학과 교수가 ‘초고령사회 맞춤형 건강검진 시스템 구축을 위한 제언’을 주제로 발표했다. 권선미 한국의학바이오기자협회 의료학술이사는 ‘고령자 건강검진에 대한 인식 조사 및 분석’, 이유진 서울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수면의학센터장)는 ‘초고령사회 수면 문제와 정신건강 검진의 중요성’에 대해 각각 밝혔다.
이호석 웨이센 책임 매니저는 ‘초고령사회 AI 내시경과 미래검진’을 주제로 초고령 사회 AI 내시경의 필요성을 비롯해 최근 도입된 인공지능(AI) 내시경 제품의 중요성과 실제 현장에서 활용되는 사례를 소개했다.웨이센은 위·대장 내시경 검사를 실시간 분석해 이상병변을 감지하고 전문의에게 알림을 주는 AI 의료기기 ‘웨이메드 엔도’를 KMI한국의학연구소 전국 대부분의 건강검진센터에 공급하고 있다. KMI한국의학연구소는 현재 서울 3곳(광화문·여의도·강남)과 지역 5곳(수원·대구·부산·광주·제주) 등 전국 8개 지역에서 센터를 운영 중이다.
이광 아주대 의과대학 생리학교실 교수는 ‘초고령사회 당뇨병상 족부병변 조기 예측을 위한 AI 활용 모델 개발’을 소개했다. 2부에선 박상민 서울대병원 가정의학과 교수, 안지현 KMI한국의학연구소 수석상임연구위원, 정혜은 보건복지부 건강정책국 건강증진과장, 김성주 한국중증질환연합회 대표, 정진수 세계일보 기자가 패널로 나서 열띤 토론을 벌였다.
김길원 한국의학바이오기자협회 회장은 “이번 설문조사를 통해 국가건강검진의 연령을 연장하는데 국민 대다수가 공감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며 “초고령사회에 대응할 수 있도록 노인성 질환 검진을 비롯한 고령층 맞춤 건강검진 프로그램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서울=뉴시스]
- 좋아요 0개
- 슬퍼요 0개
- 화나요 0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