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세 고시' 열풍 일더니 결국…강남 아이들 '심각한 상황'

2 weeks ago 8

서울 강남의 한 영어유치원 모습. 사진=연합뉴스

서울 강남의 한 영어유치원 모습. 사진=연합뉴스

서울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 지역 9세 이하 아동의 우울증·불안장애 진료가 최근 5년간 3배 이상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지역에 영어유치원 등 영유아 대상 사교육 시설이 집중돼 있어, 저연령 아동들이 발달 단계에 맞지 않는 과도한 학습 스트레스에 노출되고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25일 진선미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심평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강남 3구에 거주하는 9세 이하 아동의 우울증·불안장애 관련 건강보험료 청구 건수가 최근 5년간 3배 이상 증가했다. 2020년 1037건이었던 청구 건수는 2024년 3309건으로 급증했다. 5년간 총 청구 건수는 1만943건에 달했다.

특히 2024년 기준 강남 3구의 구별 평균 청구 건수는 1103건으로, 서울시 25개 자치구 평균(291건)의 3.8배에 달했다. 같은 기간 전국 9세 이하 아동의 우울증·불안장애 건보료 청구 건수가 2배 정도 증가한 것과 비교하면, 강남 3구의 상황이 더욱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정신건강 문제는 강남 3구의 높은 영유아 사교육 집중도와 맞물려 있다. 서울교육청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 시내 '유아 대상 영어학원(영어유치원)'은 총 240곳으로, 이 중 59곳(25%)이 강남 3구에 몰려 있다. 서울 25개 자치구의 평균 영어유치원 개수는 9.6개인 반면, 강남 3구는 19.7개로 2배 이상 많았다.

앞서 정부는 지난달 '2024년 유아 사교육비 시험조사'를 통해 유아 사교육 시장의 실태를 처음으로 공개했다. 6세 미만 취학 전 영유아 가구 부모 1만3241명을 대상으로 작년 7~9월 실시한 이 조사에서, 가정양육 유아 중 17%가 '3시간 이상'(반일제) 학원에 다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의 월평균 사교육비는 145만4000원에 달했다. 특히 '영어유치원'으로 불리는 유아 영어학원의 월평균 비용은 154만5000원에 달했다.

교육계 관계자는 "'4세 고시', '7세 고시' 논란이 불거지면서 영유아 사교육에 대한 우려가 어느 때보다 큰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이미경 기자 capital@hankyung.com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