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년 만에 돌아온 '부자될 기회' 라더니…개미들 '처참'

6 hours ago 1

사진과 기사 내용은 관계 없음./사진=게티이미지뱅크

사진과 기사 내용은 관계 없음./사진=게티이미지뱅크

대선 국면이 본격화하며 개인 투자자가 정치 테마주에 몰리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 손실을 본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 당국은 불공정 거래를 막고, 투자자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공동대응체계를 구축했다.

14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 9일 기준 정치테마주 60종목 가운데 대부분(72%)은 고점 대비 30% 이상 하락했다. 일부 종목은 60% 이상 폭락하기도 했다. 정치 테마주에 이름을 올린 종목은 대부분 자산규모가 영세하고 수익성이 낮은 중소형주다. 시장 대비 고평가되어 있으며 대선 국면을 맞아 변동성도 큰 상황이다.

정치 테마주는 주로 개인이 투자했다. 또 정치 테마주의 개인 투자자 비중은 86.9%로 시장 전체 에서 차지하는 비중(66.6%)에 비해 월등히 높았다. 하지만 금감원이 정치 테마주의 매매차익(최근 1개월 기준)을 분석한 결과 42종목에서 손실이 발생했다.

금감원은 "선거일 전·후 주가가 종전 수준으로 돌아갔던 과거 사례를 감안할 때, 현재의 과열 양상은 일시적 비정상 상태"라며 "특히 특정 정치인에 대한 테마가 소멸될 경우 순식간에 주가가 '반토막'나는 상황이 실제로 발생하고 있다. 추종매매시 투자자 손실이 매우 우려되는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정치 상황이 급변하고, 정치 테마주 주가 변동성이 커지자 금감원과 한국거래소는 실무회의를 열고 공동대응을 강화하기로 했다. 먼저 공동대응체계를 구축해 정보공유를 확대하고 시장감시와 조사역량을 집중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금감원 조사1국과 한국거래소 시장감시 부문간 핫라인을 구축했다.

정치 테마주에 대한 모니터링도 강화한다. SNS나 증권 포털사이트 게시판을 통해 정치인 관련 허위 풍문을 생성·유포하며 일반 투자자의 추종 매매를 부추기는 행위를 집중 감시한다. 또 작전 세력의 매매유인성 통정매매, 상한가 굳히기, 허수성주문, 고가매수 및 연속적인 단주 주문 등 이상매매 주문 행위도 모니터링 대상이다.

아울러 거래소는 정치 테마주에 대한 예방조치를 요구하고, 시장경보종목 지정·조회공시요구 등을 통해 과도한 주가 상승을 방지한다. 정치 테마주 대상 시장교란행위 기획 감시하고, 불공정 거래 의심 계좌는 최우선 심리한다.

금감원은 정치 테마 관련 불공정 거래 혐의가 발견되는 경우 즉시 조사에 착수할 계획이다. 또 풍문 생성·배포 행위, 이상 주문 등 시장 교란 행위에 대해서도 엄정 조치할 방침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정치 테마주는 주가 급등락을 예측해 매매 시기를 포착하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해 손실이 크게 발생할 수 있다"며 "근거 없는 풍문에 의한 추종 매매보다 회사의 본질 가치 및 현재 주가의 적정 여부를 살펴본 후 투자하는 건전한 투자문화가 정착돼야 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풍문을 생성, 유포하는 행위도 불공정거래행위에 해당할 수 있다. 이 경우 과징금 부과대상이 될 수 있음을 유념해야 한다"며 "주식 불공정거래 행위로 의심되는 사항은 금융감독원, 한국거래소로 즉시 제보해달라"고 당부했다.

진영기 한경닷컴 기자 young71@hankyung.com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