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후 39일간
잠·삼·대·청 아파트 거래량 3.6배 ↑
잠실동 ‘엘·리·트’ 거래 가장 많아
서울시가 ‘잠삼대청’(잠실·삼성·대치·청담) 지역을 토지거래허가구역에서 해제하면서 해당 지역 단지의 거래가 3배 넘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7일 부동산 플랫폼 직방에 따르면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발표 이튿날인 2월 13일부터 재지정 전날인 3월 23일까지 서울 전체 아파트 거래량은 9665건으로, 해제 발표 직전 동기간(4559건)보다 2.1배가량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토지거래허가구역 규제 대상 지역 내 거래량은 총 353건으로 해제 직전(99건)보다 3.6배 이상 많았다. 신고가 경신 거래도 증가했다.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발표 직전 39일, 13건이었던 잠.삼.대.청(잠실동, 삼성동, 대치동, 청담동 내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단지 기준)의 신고가 거래 사례는 해제 이후 84건으로 약 6.5배 늘었다.
규제 해제 대상 지역 내에서는 잠실동의 거래가 가장 많았다. 39일 동안 잠실동은 총 135건의 아파트가 거래됐다. 세부 단지로는 역시 잠실동 3대장의 거래가 많았다. 리센츠가 38건, 잠실엘스가 34건, 트리지움이 30건 거래됐다. 이들 단지는 대규모 단지 구성과 우수한 교통망, 편리한 생활 인프라로 높은 선호도를 보인다.
잠실에 뒤이어 삼성동이 86건, 대치동이 71건, 청담동이 61건 순으로 아파트 거래량이 많았다. 삼성동은 삼성동힐스테이트1단지가 16건, 대치동은 대치현대 10건, 청담동은 청담자이 11건 등 순으로 거래됐다.
규제 대상이 아니었던 지역에서는 ▲강남구(규제 해제 대상 제외) ▲강동구 652건 ▲송파구(규제 해제 대상 제외) 652건 ▲성동구 637건 순으로 거래량이 많았다. 강남구는 개포동(131건), 도곡동(122건), 역삼동(116건) 등에서 거래가 많이 됐다. 강동구는 신축 단지 위주로, 송파구는 대단지 위주로 거래가 늘었다.
해제 대상 지역의 주 단위 기간별 거래량을 살펴보면 대상 지역의 거래량은 초기 급증한 후 점차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해제 직후 1주일, 총 122건의 아파트가 거래되며 가장 많았다. 거래 제한이 해제되자 빠르게 움직인 수요자들이 즉각적으로 반응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이후 주차가 지날수록 66건, 57건, 47건, 26건으로 거래 건수는 다소 감소했다.
직방 관계자는 “규제지역 재지정으로 인해 수도권 부동산 시장은 단기적으로 거래 위축이 불가피할 전망”이라면서도 “강남권을 비롯한 주요 인기 지역은 조정기 속에서도 강한 가격 방어력을 보인다. 단기적으로는 관망세가 이어질 가능성이 크지만, 상급지를 중심으로 선별적인 상승 흐름이 나타날 여지도 있다”라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