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900년 파리 만국박람회에서는 당시로서는 혁신적인 움직이는 인도(trottoir roulant) 가 설치되어 관람객의 주목을 받음
 
- 
토머스 에디슨은 제작자 제임스 헨리 화이트를 박람회에 보내 촬영을 맡겼으며, 그는 새로운 팬닝 삼각대를 사용해 16편 이상의 영상을 제작함
 
- 당시 인도는 세 개의 고가 플랫폼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각각 정지·중속·시속 약 6마일의 속도로 움직여 관람객이 박람회장을 빠르고 쉽게 이동할 수 있었음
 
- 엔지니어들은 이를 “끝없는 바닥(endless floor) ”이라 불렀고, 나무로 된 구조물이 광장을 따라 끊임없이 순환하는 형태로 묘사됨
 
- 이 기술은 이후 공항이나 지하철의 이동식 보도로 발전했으며, 오늘날에도 도보 이동이 다소 긴 구간에서 유용한 교통수단으로 평가됨
 
파리 만국박람회의 움직이는 인도
- 
1900년 파리 박람회에서는 당시 세계적으로 드물었던 기계식 이동 인도가 설치되어 큰 화제를 모음
- 이 장치는 세 개의 고가 플랫폼으로 구성되어 있었고, 첫 번째는 고정, 두 번째는 중속, 세 번째는 시속 약 6마일로 움직였음
 
- 관람객들은 이를 통해 박람회장을 빠르고 편리하게 순회할 수 있었으며, 대부분이 처음 접하는 교통수단이라 이용에 서툴러 재미를 느꼈다고 기록됨
 
 
- 
New York Observer의 특파원은 이를 “새로운 형태의 이동 수단”이라 묘사하며, “이 장치를 이용하면 박람회장을 신속하고 쉽게 돌 수 있다”고 보도함
 
토머스 에디슨과 제임스 헨리 화이트의 촬영
- 
토머스 에디슨은 제작자 제임스 헨리 화이트(James Henry White) 를 파리 박람회에 파견해 현장을 촬영하게 함
- 화이트는 새로운 팬닝 헤드 삼각대를 사용해 이전보다 자유롭고 유려한 영상 움직임을 구현함
 
- 영상에는 아이들이 뛰어들거나, 한 남성이 카메라를 향해 모자를 벗는 장면 등이 담겨 있어 당시 사람들의 호기심과 흥분을 보여줌
 
- 화이트는 최소 16편의 영화를 촬영했으며, 그중 일부는 오늘날에도 영상으로 남아 있음
 
 
기술적 구조와 묘사
- 엔지니어들은 이 장치를 “끝없는 바닥(endless floor) ”이라 불렀으며, 지상 30피트 높이에서 광장 네 면을 따라 끊임없이 순환하는 나무 구조물로 설명함
- 책 Paris Exposition Reproduced From the Official Photographs에서는 이를 “기차처럼 일정한 시간에 도착하고 출발하는 분리된 구조물”로 묘사함
 
- “자신의 꼬리를 문 나무 뱀”이라는 표현으로 그 형태를 비유함
 
 
이전의 시도와 비교
- 
움직이는 인도 개념은 파리보다 앞서 존재했음
- 1871년 Alfred Speer가 뉴욕시 보행자 이동을 혁신하기 위한 시스템을 특허 등록함
 
- 실제로 처음 설치된 것은 1893년 시카고 콜럼비아 박람회로, 이용 요금은 5센트였으나 자주 고장나고 신뢰성이 낮았음
 
- 이에 비해 파리의 시스템은 보다 안정적이고 인상적인 시연으로 평가됨
 
 
현대적 의미와 평가
- 
Treehugger의 Lloyd Alter는 “걷기에는 멀지만 교통수단을 이용할ほど은 아닌 거리에서 이동식 보도가 유용하다”고 언급함
- 그는 교통수단이 단순한 이동을 넘어 즐거움을 주는 경험이어야 한다고 강조함
 
 
- 파리 시민들은 1889년 박람회에서 세워진 에펠탑을 보존했지만, 이 움직이는 인도는 유지되지 못한 점이 아쉽다고 평가됨
 
- 일부는 이를 ‘이동식 하이라인’ 으로 비유하며, 교통과 오락이 결합된 형태로 회상함
 
관련 자료
- 
Paleofuture에는 당시의 수공채색 사진과 공식 사진집 이미지가 수록되어 있음
 
- 
YouTube 영상에서는 파리와 시카고의 초기 이동 인도 모습을 함께 확인할 수 있음
 
- 원문은 Open Culture의 도시·문화 관련 콘텐츠 시리즈의 일부로, 19세기 말 파리의 기술적 실험을 조명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