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남 지역 교육을 책임지는 수장들이 잇따라 각종 비리 의혹에 휘말리며 교육계 신뢰에 균열이 생기고 있다. 전북에서는 당선무효형을 받은 교육감이 뇌물수수 혐의로 경찰 수사를 받고 있고, 광주에서는 교육감 최측근이 감사관 채용 비리에 연루돼 검찰 수사를 받는 등 교육 수장의 자질과 도덕성이 도마에 올랐다. ‘공정한 인사’와 ‘투명한 채용’을 강조해온 이들이 정작 그 원칙을 스스로 무너뜨렸다는 점에서 파장이 크다.
전북경찰청은 10일 서거석 전북특별자치도교육감을 뇌물수수 혐의로 입건해 조사하고 있다고 밝혔다. 서 교육감은 2022년 교육감 선거를 앞둔 시기, A씨로부터 자녀의 장학사 승진을 청탁받고 1200만 원을 수수한 혐의를 받고 있다.
하지만 이후 A씨 자녀는 승진하지 못했고, 경찰은 뇌물공여 혐의로 A씨 역시 입건했다. 서 교육감은 이에 대해 “허위사실이며 악의적인 흑색선전”이라 반발하며 고발인을 무고죄로 고소하고, 명예훼손 혐의로 법적 대응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서 교육감은 이미 허위사실 공표 혐의로 기소돼 올해 1월 벌금 500만 원을 선고받았으며, 현재 대법원 최종심을 앞두고 있다.
광주에서는 이정선 광주시교육감의 고교 동창이 감사관 채용에 부당하게 개입한 정황이 포착되며 검찰 수사가 확대되고 있다. 검찰은 이 교육감을 피의자 신분으로 특정하고, 지난달 자택과 사무실에 대해 압수수색을 벌였다.
함께 수사를 받고 있는 A씨는 시교육청 퇴직 간부로, 감사관 채용 당시 관련 부서가 아님에도 깊숙이 개입한 것으로 의심받고 있다. A씨는 이 교육감의 최측근으로 알려져 있으며, 검찰은 그의 휴대전화를 포렌식하는 등 물증 확보에 주력하고 있다. 이에 대해 이 교육감 측은 “공모에 대한 증거나 진술 없이 수사 대상에 올랐다”며 혐의를 전면 부인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