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분기 사업소득 13% 줄어
대출잔액은 소득의 2.5배
한국 경제에서 ‘허리’에 해당하는 40대 가구의 3분기 사업소득이 급감했다. 40대는 자영업자 비중이 높은데 내수 부진 장기화로 직격탄을 맞았다는 분석이다.
1일 통계청에 따르면 가구주 연령이 40대인 가구의 사업소득은 3분기 107만4000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16만2000원(13.1%) 감소했다. 2006년 통계 집계 이래 가장 큰 폭 감소다. 소득액수로도 코로나팬데믹 시기인 2021년 105만1000원 수준으로 떨어졌다.
40대의 사업소득 부진은 도·소매업 소비 등 내수 경기에 영향을 받는 업종에 종사하는 비중이 크기 때문이다. 1~10월 기준 40대 자영업자 115만2000명 중 도소매업 종사자는 23만3000명이었다. 5명중 1명(20.2%)이 물건을 사고파는 일을 업으로 삼고 있는 것이다. 이 가운데 재화 소비를 뜻하는 소매판매액 지수는 2년 넘게 빠지고 있다. 이 지수는 2022년 2분기(-0.2%) 이후 3분기까지 10개 분기 연속 감소 중이다. 1995년 통계 작성 이래 최장기간 감소세다.
경제 주축인 40대의 소득 부진은 경제 전반의 활력을 떨어뜨릴 수 있다. 특히 이들은 재무상태 역시 전 연령대중 가장 좋지 않다. 한국은행이 국회에 제출한 올해 1분기 국내 가계소득 대비 부채비율(LTI) 자료에 따르면, 40대의 LTI는 253.7%로 전체중 가장 높았다. 대출 잔액 합계가 연간 소득의 2.5배를 넘어선 것이다.
내년 내수 경기가 올해보다 나아질 것이란 게 중론이다. 한은의 2회 연속 기준금리 인하(3.5→3.0%)로 가계 살림살이가 다소나마 풀릴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다만 미국 트럼프 신정부 출범 등 국내 경제를 둘러싼 불확실성이 커지며 경제 전반의 성장세가 낮아질 것이란 부정적 전망도 많다. 한은은 최근 내년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을 당초보다 0.2%포인트 낮춘 1.9%로 내다봤다. 한은은 민간소비가 회복 흐름을 이어갈 것이라면서도 “높은 원리금 상환 부담, 취약계층의 소비여력개선 지연, 일부 대기업의 고용 관련 불확실성 증대 등이 제약요인으로 작용하면서 회복 속도는 당초보다 완만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진단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