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자가 총마진보다 중요하다: 재검토판

1 day ago 4

  • AI 시대 이후 방어력(해자, Moat) 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며, 높은 총마진(Gross Margin) 만으로 기업의 질을 판단하기 어려워진 흐름이 나타남
  • 기존의 네트워크 효과·규모의 경제·브랜드·전환 비용·독자 기술/데이터는 여전히 가장 강력한 모트로 작동하며, 대표 사례로 ChatGPT·Waymo·Flock Safety·Anduril이 등장
  • AI 도구로 제품 개발 속도가 빨라져 모멘텀 확보가 모트 구축의 전제 조건으로 부각됨
  • 높은 총이익률이 오히려 AI 기능 부족의 신호일 수 있어 지표 해석 방식이 변하고 있음
  • 미래의 유망 기업은 빠른 실행력으로 사랑받는 제품을 만들고, 그 위에 지속 가능한 모트를 쌓는 방향으로 움직일 것으로 보임

2020년의 원문을 현재에 맞게 재검토

총이익률 중심 사고의 문제

  • 2019~2020년 동안 높은 총마진 기업만이 시장의 관심을 받는 양극화 현상이 나타남
    • 높은 총마진은 성장과 제품 개발에 투자할 수 있는 여유를 제공
    • 높은 총마진은 높은 현금흐름 마진으로 이어지는 경향이 있으며, "런웨이가 얼마나 남았는가"가 핵심 질문이 된 시대에 현금이 가장 중요
    • 높은 총마진 기업은 일반적으로 낮은 총마진 기업보다 높은 매출 배수(revenue multiple) 를 받음
  • 그러나 기업 가치의 본질은 방어가능성(Defensibility) 이며, 방어가능성은 해자(Moat) 에서 비롯됨
    • 높은 총마진은 해자의 반영일 수 있지만, 그 자체가 해자는 아님
    • 낮은 총마진 기업의 경우 영업·마케팅이나 R&D에 투자할 여유가 적으므로, 해자에 더욱 집중해야 함
  • 낮은 총마진에도 강력한 모트가 있으면 장기적으로 높은 현금흐름 창출이 가능함
    • Apple의 총마진은 38% 로 많은 소프트웨어 기업의 절반 수준이지만, 주요 거래소에서 가장 높은 가치를 가진 기업 중 하나
    • Walmart, Home Depot, Disney, Netflix, Nike, Starbucks, Raytheon, Lockheed Martin 등 가장 가치 있는 기업들 중 다수가 낮은 총마진 보유
    • 차세대 아이코닉 기업들은 더 기술 기반(tech-enabled) 이겠지만, 전통 소프트웨어보다 낮은 총마진을 가질 가능성 높음

해자의 네 가지 유형

  • 네 가지 대표적 모트로 규모의 경제·차별화된 기술·네트워크 효과·직접 브랜드 파워를 꼽을 수 있음
  • 1. Economies of Scale (규모의 경제)

    • 생산 증가에 따른 비용 우위를 의미
    • Amazon의 물류 네트워크가 대표적 사례이며, Carvana의 차량 정비 네트워크도 경쟁사 대비 낮은 비용으로 차량 관리 가능
    • 핵심 질문: 단위당 비용이 경쟁사보다 방어가능하게 낮은가?
    • 초기 및 성장 단계 스타트업이 이런 규모를 달성하기는 매우 드묾
    • 대안적 질문: 단위당 비용이 개선되면서 유닛 이코노믹스가 악화되지 않는가?
      • 예: 유료 광고로 볼륨을 늘려 규모 이점을 얻을 수 있지만, 과도한 광고비로 유닛 이코노믹스가 적자가 될 수 있음
    • 규모의 경제 징후: 공급자 및/또는 구매자에 대한 협상력 확보 경로가 명확한지 여부
    • Spotify 사례: 역사적으로 음악 레이블이 스트리밍 서비스에 특정 조건을 요구했지만, Spotify의 대규모 사용자 기반이 점유율을 계속 높이면 협상 구도가 역전되어 경쟁 대비 의미 있는 차별화된 경제성 확보 가능
  • 2. Meaningfully Differentiated Technology (의미 있는 기술적 차별성)

    • 대부분의 기업이 차별화된 기술을 보유했다고 믿지만, 진정한 해자가 되려면 중요한 방식으로 차별화되어야 함
    • 차별화된 기술은 프리미엄 가격 책정낮은 영업·마케팅 비용(제품이 "스스로 판매됨")을 가능하게 함
    • 열등한 기술 솔루션으로 전환하는 데 인지된 전환비용이 있어 고객 락인이 높아짐
    • 해자 지표 1: 수년간 우위를 보호할 수 있는 지적재산권(특허 등) 보유 여부
    • 해자 지표 2: 가격결정력(Pricing Power) - 고객이 다른 제품보다 더 높은 가격을 기꺼이 지불하는지 여부
    • 고객 인터뷰를 통한 확인: 고객이 "아무도 귀사의 제품을 따라올 수 없다", "더 높은 가격도 지불할 의향이 있다", "귀사처럼 계속 개발할 역량을 가진 곳이 없다"고 말하는지 여부
    • Anduril 사례: 정부 관계자들이 Anduril을 선택하는 이유는 센서 퓨전 및 머신 비전 플랫폼이 다른 방산업체와 달리 유사 기술 구축 인재를 채용·유지할 가능성이 낮기 때문
  • 3. Network Effects (네트워크 효과)

    • 제품이나 서비스가 사용자가 늘어날수록 더 가치 있어지는 현상으로, 성장에 플라이휠 효과 발생
    • 낮은 총마진에도 불구하고 Lyft, Uber 등 인터넷 마켓플레이스들이 네트워크 효과를 활용해 유기적 성장, 전환비용 증가, 규모 있는 비즈니스 구축
    • 네트워크 효과 지표 1: 사용자 수 증가에 따라 인게이지먼트(예: DAU/MAU)가 개선되는지 여부
    • 네트워크 효과 지표 2: 공급과 수요 양측에서 지갑 점유율의 유기적 성장 발생 여부
    • 식료품 및 레스토랑 배달 스타트업에서 밀집 시장일수록 소비자 인게이지먼트와 달러 리텐션이 높음
    • 네트워크 효과가 자리 잡으면 시간 대비 매출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는 패턴이 나타남
  • 4. Direct Brand Power (강력한 브랜드)

    • 아웃바운드 세일즈나 유료 마케팅에 쓸 수 있는 매출 비중이 적은 것을 강력한 브랜드로 상쇄 가능
    • 강력한 브랜드는 입소문 추천, 컬트적 팔로잉, 직접 트래픽을 확보
    • LaCroix, Hint Water, Bevi 사례: 입소문이 빠르게 퍼져 모든 사무실 주방에 구비 필수품이 됨
    • 브랜드 구축에는 시간, 집중, 자금이 필요하지만 장기적으로 가치 있고 미래에도 효과 발휘
    • 브랜드 파워 지표 1: 유기적·직접 트래픽 증가 - 시간이 지남에 따라 유료가 아닌 유기적/직접 채널에서 오는 트래픽과 매출 비중이 증가하는지 여부
      • 무료 채널 활용은 비싼 고객 획득 채널(Google, Facebook)에 대한 의존도를 낮춤
    • 브랜드 파워 지표 2: 고객획득비용(CAC) 감소 - 각 고객 획득 비용이 하락하거나 유지되는지 여부
      • 유기적 트래픽 증가와 함께 유료 CAC가 유지/하락하면 블렌디드 CAC 감소
      • 스타트업 초기에는 CAC가 상승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강력한 브랜드가 입소문을 유도하면 제품-시장 적합성 달성 후 CAC가 다시 하락

AI 시대의 변화

  • AI 시대에도 네트워크 효과, 규모의 경제, 브랜드, 높은 전환비용, 독점 기술/데이터가 여전히 해자의 골드 스탠다드
  • OpenAI의 ChatGPT는 소비자에게 AI와 동의어가 된 브랜드를 확립하고, 메모리·통합·협업을 통해 네트워크 효과 구축 중
  • Waymo, Flock Safety, Anduril은 복제하기 어려운 차별화된 기술과 IP 구축
  • AI 시대에 두 가지 변화 발생:
    1. 기업들이 그 어느 때보다 빠르게 실행할 수 있어 모멘텀 확보가 그 어느 때보다 중요
    2. 모멘텀 자체는 해자가 아니지만, 해자를 구축할 권리를 획득하게 해줌
  • 총마진에 대한 과도한 집중의 위험이 오늘날 더욱 커짐: 높은 총마진이 오히려 제품에 AI를 사용하지 않고 있음을 시사할 수 있어, 과거와 같은 시그널이 아닐 수 있음
  • 오늘날 최고의 기업들은 사람들이 사용하고 사랑하는 제품을 빠르게 구축할 것으로 예상

종합

  • 위 네 가지 해자 유형은 완전한 목록이 아니지만, 높은 총마진 없이도 지속 가능한 비즈니스 구축이 가능함을 상기시킴
  • 낮은 총마진으로도 두 가지 이상 강한 모트를 확보하면 높은 기업 가치와 현금흐름을 만들 수 있음
  • 방어가능하고 가치 있는 기업을 만드는 데 하나의 정해진 길은 없음
  • 총마진은 투자자들의 편리한 지표지만, 기업의 본질적 방어력은 다른 요소들이 결정
  • 높은 총마진을 갖는 것이 더 쉬울 수 있지만, 창업자들이 자사에 맞는 올바른 경로를 개척하는 것이 중요
  • 지속 가능한 기업을 만들기 위해서는 모트 구축에 대한 장기적 사고와 실행력이 필요함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