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션 NOW]
편안함-실용성 앞세워 패션계 주도… 낙낙한 셔츠와 슬랙스, 재킷 주목
간결한 실루엣에 고급스러운 소재… 유행 넘어 세련된 일상룩으로 각광
매일 아침 집을 나서던 아버지의 출근룩처럼 익숙한 ‘대디코어(Daddycore)’가 올해 다시 한 번 패션의 정점에 섰다. 대디코어란 말 그대로 아버지 세대의 옷장에서 볼 법한 아이템을 현대적인 감각으로 재해석한 스타일을 뜻한다. 낙낙한 셔츠와 슬랙스, 클래식한 재킷 등이 이를 대표하는 요소다. 핵심은 단연 편안함과 실용성. 패션계에 젠더리스 트렌드가 확산되며 좁고 타이트한 실루엣보다는 여유 있는 옷차림이 하나의 스타일 미학으로 자리 잡았고, 그 흐름 속에서 대디코어는 자연스럽게 주류로 급부상했다.
대디코어는 비교적 최근에 이름이 붙여졌지만 그 뿌리는 깊고 탄탄하다. 원형은 1980, 90년대 전형적인 아버지의 일상복에서 비롯됐다. 본래 멋을 위한 옷이라기보다는 실용성을 우선시한 생활복에 가까웠다. 촌스럽지만 솔직한 스타일이 지금에 와서는 오히려 담백하고 정제된 멋으로 느껴진다.
대디코어 트렌드에 본격적으로 불을 지핀 건 2010년대 중반 ‘놈코어(Normcore)’가 등장하면서다. ‘튀지 않는 옷이 오히려 쿨하다’는 패션 철학 아래 무지 티셔츠와 청바지, 스니커즈 같은 기본 아이템이 스타일의 중심으로 떠오르며 함께 재조명되기 시작했다. 이후 애슬레저와 워크웨어 같은 기능성을 기반으로 한 ‘아버지의 옷’이 점차 트렌디한 무드로 재해석되며 런웨이를 장식하게 된다.포문을 연 건 2018년 봄여름(SS) 시즌 발렌시아가 컬렉션이다. 크리에이티브 디렉터 뎀나는 프랑스 파리의 한적한 공원에서 쇼를 열고, 실제 아버지와 자녀가 함께 런웨이에 등장하는 ‘신박한’ 장면을 연출했다. 낡은 블레이저에 허리를 한껏 추켜세운 청바지, 형형색색의 바람막이 점퍼와 투박한 운동화까지, 패션에 무관심한 우리네 아버지처럼 아이의 손을 잡고 산책하듯 런웨이를 걷는 그들의 모습은 패션계에 또 한 번의 파격을 선사하며 대디코어의 상징적 장면으로 기록됐다.
아버지의 옷장에서 출발한 대디코어는 이제 일상 속에서 소화 가능한 세련된 스타일로 각광받고 있다. 트렌드 수명이 짧아진 지금, 대디코어는 오히려 익숙하고 오래된 것에서 취향을 길어 올리고 이를 동시대적 감각으로 재해석함으로써 생명력을 이어 나가고 있다. 단순한 유행을 넘어 개성과 실용성을 중시하는 현대인의 스타일 코드로 기능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깊다.
안미은 패션 칼럼니스트
- 좋아요 0개
- 슬퍼요 0개
- 화나요 0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