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충남도가 지난해 말 국가보훈부에 '충남권 국립호국원 조성 건의서'를 제출하며 국립호국원 유치에 적극적인 가운데 이를 뒷받침하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16일 충남연구원 김양중 선임연구위원은 '국가 위해 헌신한 희생자를 기리는 충남 국립호국원 조성의 당위성'을 주제로 보고서(충남리포트 398호)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국립호국원은 현재 경북 영천, 전북 임실, 경기 이천, 경남 산청, 충북 괴산, 제주에서 운영 중이다. 2028년 강원 횡성, 2029년 전남 장흥에 신규 개원할 예정이다.
장흥까지 개원하면 충남은 전국에서 유일하게 호국원이 없는 광역도다.
김 선임연구위원은 “충남 지역의 안장 대상 유공자는 올해 2월을 기준으로 참전유공자 8716명, 전상·공상 군경 4094명, 장기복무 제대 군인 5535명 등 총 2만 3440명에 달한다”라고 말했다.
이어 “충남이 세종 수요까지 흡수한다면 4919명이 늘어난 2만 8359명이 되고, 이는 광역도 중 경기, 경남, 경북 다음으로 많은 숫자”라고 말했다.
특히 “국가보훈부가 제시한 지역별 안장수급 분석 자료에서 충남권(충남·대전·세종)은 이미 2023년부터 안장 능력이 부족해 2045년까지 3만 381기의 안장 수요가 발생할 것으로 추정한 바 있고, 향후 경찰과 소방공무원까지 안장 대상에 포함될 예정”이라며 충남 국립호국원 건립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또한, 지난해 9월 도내 국가유공자 2054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응답자 98.6%인 2024명이 '사후 도내에 안장되어야 한다'라고 응답했다.
충남 국립호국원 조성이 필요한 이유에 대해 응답자 57.6%는 '호국원 접근성과 추모의 편리성'을, 27.8%는 '충남 역사와 연관된 인물에 대한 존경과 기억을 통한 지역사회의 정체성 강화'로 답했다.
김 선임연구위원은 “그동안 도내 국가유공자 대부분이 사후에 고향을 떠나 인근 괴산이나 임실호국원에 안장됐던 게 사실”이라며 “앞으로 건립될 충남 국립호국원은 충남권 호국영령을 추모하고 보훈 대상자들의 명예를 기리는 중요한 국가 시설이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충남도는 약 40만㎡의 부지(봉안시설 1.5만기 및 부대시설)에 사업 기간 약 6~7년, 사업예산 495억 원 규모로 호국원 건립을 건의한 바 있다.
안수민 기자 smah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