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장병호 기자] 국내 최대 국가유산 축제인 ‘2025 가을 궁중문화축전’이 오는 10월 8일부터 12일까지 5일간 서울 4대 고궁(경복궁·창덕궁·덕수궁·창경궁)과 종묘에서 열린다.
![]() |
‘2025 봄 궁중문화축전’ 중 ‘경복궁 시간여행’ 프로그램의 한 장면. (사진=국가유산청) |
올해 11회를 맞는 ‘궁중문화축전’은 △문화유산 전승자·전통문화 활용 브랜드와의 협업 강화 △청소년과 60세 이상의 시니어 등 대상별 맞춤 프로그램 신설 △광복 80주년과 종묘 정전 복원 기념특별 프로그램 등으로 축제의 외연을 넓혔다.
경복궁에서는 지난해 큰 호응을 얻은 ‘한복 연향’(10월 8~9일)이 올해도 열린다. 참가자들은 아름다운 한복을 입고 경복궁 북측 권역인 집옥재와 향원정 일대를 거닐며 다양한 프로그램을 체험할 수 있다. 올해는 ‘한복 만담’ 프로그램을 새로 마련해 국가무형유산 침선장 박영애 전승교육사, 자수장 윤정숙 이수자, 금박장 박수영 이수자 등이 직접 한복 제작을 시연한다.
창경궁에서는 시니어 세대를 위한 ‘동궐 장원서’(10월 8~12일) 프로그램을 새로 선보인다. 60세 이상 내국인을 대상으로 하는 프로그램으로 참가자들은 직접 자신만의 반려 식물을 만들며 전통 화훼 문화를 체험할 수 있다.
또한 명정전, 통명전, 경춘전 등 창경궁 곳곳에서는 조선 왕실의 일상을 재현한 ‘창경궁 시간여행’(10월 11~12일) 공연, 야간 해설 프로그램 ‘조선의 밤, 하늘과 바람’(10월 11~12일) 등을 진행한다.
덕수궁 준명당에서는 어린이를 위한 체험형 프로그램 ‘준명당 어린이 학교’(10월 11~12일)를 새로 마련한다. 고종의 딸 덕혜옹주가 교육을 받았던 ‘준명당’을 배경으로 펼쳐지는 상황극을 통해 궁중 예절과 자연 학습, 전통 공예 놀이를 체험하며 궁중문화를 배울 수 있다.
덕수궁 정관헌에서는 인문학 콘서트가 두 차례 열린다. 장유정 단국대 교수는 ‘제국을 거스른 노래들-덕수궁과 한국근대가요’(10월 10일)를 주제로 광복 80주년의 의미를 되새긴다. 전경욱 고려대 교수는 ‘한국의 전통 가면극’(10월 11일)을 주제로 전통 예술의 깊이를 소개한다.
종묘 영녕전에서는 최태성 한국사 강사의 ‘종묘 인문학 콘서트’(10월 8일)가 열린다. 종묘 정전의 복원 과정과 그 의미를 중심으로 종묘의 역사적 가치를 전할 예정이다. 전통 제례악과 종묘의 아름다움이 어우러지는 ‘고궁음악회 - 풍류에 제례악을 더하다’(10월 9~12일) 공연도 펼쳐진다.
궁중문화축전 기간 동안 자원활동가 ‘궁이둥이’와 함께하는 ‘궁중놀이방’도 운영한다. 창경궁에서는 야간 미디어아트 프로그램 ‘창경궁 물빛연화’로 색다른 밤의 창경궁을 경험할 수 있다. 4대궁과 종묘를 잇는 ‘궁중문화축전 도장 찍기 여행’을 비롯해 ‘궁중문화축전 길놀이’ 등을 운영해 축제의 흥을 더욱 돋운다. ‘궁패스 노리개’도 새로운 디자인으로 다시 선보인다. 온라인 참여 프로그램 ‘모두의 풍속도 2025’도 12일부터 운영한다.
사전 예약이 필요한 프로그램은 11일 오후 12시부터 티켓링크에서 예매할 수 있다. 외국인 대상 프로그램은 크리에이트립에서 예매 진행 중이다. 더 자세한 내용은 궁중문화축전 공식 홈페이지와 인스타그램, 궁능 활용 프로그램 전화 상담실로 문의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