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물간 줄 알았는데…다시 부활한 '추억의 브랜드' 정체

5 hours ago 1

한물간 줄 알았는데…다시 부활한 '추억의 브랜드' 정체

1990년대를 휩쓴 ‘국민 백팩’ 브랜드 잔스포츠는 2000년대 중반 들어 자취를 감췄다. ‘한물간 브랜드’로 추락했다. 그런 잔스포츠가 작년부터 ‘제2 전성기’를 맞았다. 10~20대 사이에서 인기가 치솟아 연간 매출이 두 자릿수 급증했다. 잔스포츠 부활 뒤엔 무신사의 패션 유통 자회사인 무신사트레이딩이 있다.

◇중소 브랜드, K패션 유망주로

무신사트레이딩이 ‘패션 인큐베이터’로 거듭나고 있다. 잔스포츠, 디키즈 등 추억의 브랜드를 새롭게 리브랜딩해 되살리는가 하면, 잘 알려지지 않은 중소기업 브랜드를 컨설팅해 ‘K패션 유망주’로 키우고 있다.

무신사트레이딩이 유통하는 브랜드 중 성장세가 가파른 건 잔스포츠와 디키즈다. 24일 무신사트레이딩에 따르면 올 상반기 잔스포츠와 디키즈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각각 60%, 75% 증가했다. 비결은 무신사트레이딩의 ‘리브랜딩’이다. 무신사트레이딩은 2023년 잔스포츠의 국내 온·오프라인 유통권을 확보한 후 10~20대 사이에서 인기 있는 미니백 트렌드를 반영해 ‘미니 백팩’ 등을 출시했다. 스타필드 수원·하남·고양, 서울 잠실 롯데월드몰 등 유동 인구가 많은 복합쇼핑몰에 처음으로 오프라인 단독 매장도 냈다. 그 결과 지난해 잔스포츠 매출은 전년보다 64% 급증했다. 올해도 두 자릿수 증가율을 기록하고 있다.

디키즈도 마찬가지다. 무신사트레이딩이 디키즈 유통을 본격적으로 시작한 지난해 브랜드 매출은 전년 대비 170% 급증했다. ‘874 팬츠’ ‘더블니 팬츠’ 등 100년이 넘는 워크웨어 브랜드의 헤리티지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상품을 선보여 히트했다. MZ세대(밀레니얼+Z세대) 사이에서는 “디키즈가 힙해졌다”는 평가가 나온다.

중소 브랜드를 직접 컨설팅해 키우기도 한다. 신발 깔창 소재 전문 기업 컴테크케미칼이 선보인 신발 브랜드 ‘토앤토’가 대표적이다. 무신사트레이딩은 토앤토에 지분을 투자한 후 마케팅 설계에 나섰다. 운동 후 피로를 덜어주는 ‘리커버리 슈즈’ 시장을 정조준한 게 대표적이다. 토앤토는 최근 일본 편집숍, 태국 백화점 등에도 입점했다.

◇“상장 앞두고 성장성 증명해야”

브랜드 성장과 함께 무신사트레이딩 매출도 가파르게 늘고 있다. 지난해 무신사트레이딩 매출은 761억원이었다. 전년(516억원) 대비 47.5% 늘었다. 지난해 무신사 연결 매출(1조2427억원)의 6% 수준이지만 유통을 맡은 브랜드가 무신사 플랫폼에서 잘 팔리면 매출이 동반 증가하는 시너지 효과가 있다. 올해는 챔피온 등 신규 브랜드 유통도 따내 매출이 1000억원에 달할 전망이다.

무신사가 이런 신사업에 적극 나서는 이유는 기업공개(IPO)를 앞두고 사업 다각화 가능성을 증명하기 위해서다. 무신사는 최근 상장 주관사 선정을 위해 증권사들에 입찰 제안 요청서를 배포하는 등 속도를 내고 있다. 업계에선 무신사가 높은 기업가치를 인정받으려면 국내 플랫폼 사업 외에 해외 진출, 브랜드 유통 등 다양한 사업에서 성과를 내야 한다고 보고 있다.

무신사는 이런 평가를 의식해 지난해 인기 K패션 브랜드 ‘마뗑킴’의 일본 총판을 따내고, 최근 3자 물류(3PL) 사업도 시작했다. 중국 안타스포츠와 합작법인(JV)을 세우고 현지에 자체브랜드(PB)인 무신사스탠다드 매장도 낼 계획이다.

이선아 기자 suna@hankyung.com

Read Entire Article